2025-10-06 00:03

Tags: 디자인

UX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 단순히 보기 좋은 디자인을 넘어, 사용자가 제품/서비스를 사용하며 느끼는 모든 총체적 경험을 의미한다.
  • 성공적인 UX 디자인은 사용자 연구, 문제 정의, 아이디어 발상, 프로토타이핑, 테스트의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요소 (영문)의미설명
유용성 (Useful)사용 목적에 부합하는가?사용자가 원하는 기능과 정보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사용성 (Usable)사용하기 쉬운가?직관적이고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법을 익히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매력성 (Desirable)매력적인가?브랜딩, 이미지, 디자인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만족감과 자부심을 주어야 한다.
신뢰성 (Credible)믿을 수 있는가?사용자가 제공되는 정보를 신뢰하고, 개인정보 유출 등의 걱정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접근성 (Accessible)누구나 접근 가능한가?장애인, 고령자 등 신체적, 환경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도 동등하게 정보를 얻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검색 가능성 (Findable)찾기 쉬운가?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기능을 웹사이트나 앱 내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조가 잘 설계되어야 한다.
가치성 (Valuable)가치를 제공하는가?위의 6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와 기업 모두에게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 야콥 닐슨(Jakob Nielsen) 이 제시한 ‘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10 Usability Heuristics)‘은 모든 UX 디자이너의 필독서와 같다.
  1. 시스템 상태의 가시성 (Visibility of system status):
    • 시스템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사용자에게 항상 알려주어야 한다. (예: 파일 다운로드 진행률 표시)
  2. 시스템과 현실 세계의 일치 (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 전문 용어 대신 사용자에게 익숙한 단어와 개념을 사용해야 한다. (예: 휴지통 아이콘)
  3. 사용자 제어 및 자유 (User control and freedom):
    • 사용자가 실수했을 때 쉽게 되돌릴 수 있는 ‘탈출구’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예: 실행 취소, 뒤로 가기 버튼)
  4. 일관성 및 표준 (Consistency and standards):
    • 사용자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플랫폼 내에서 일관된 용어와 디자인을 사용해야 한다. (예: ‘취소’ 버튼은 항상 왼쪽에)
  5. 오류 방지 (Error prevention):
    • 사용자가 실수를 저지를 만한 상황을 미리 제거하거나, 실행 전 한 번 더 확인시켜주어야 한다. (예: “정말 삭제하시겠습니까?” 확인창)
  6. 기억보다는 인식 (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
    • 사용자가 정보를 기억하게 만들기보다, 눈에 보이는 옵션과 행동을 통해 쉽게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예: 최근 본 상품 목록)
  7. 유연성과 사용 효율성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
    •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단축키나 고급 기능 등을 제공해야 한다.
  8. 미학적이고 미니멀한 디자인 (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
    •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고 가장 중요한 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한다.
  9. 오류의 인식, 진단, 복구 지원 (Help users recognize, diagnose, and recover from errors):
    • 오류가 발생했을 때, 명확한 언어로 문제와 해결책을 알려주어야 한다. (예: “비밀번호가 틀렸습니다” 대신 “비밀번호는 8자 이상이어야 합니다”)
  10. 도움말 및 문서 (Help and documentation):
    • 필요할 때 사용자가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도움말을 제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