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23:21
Tags: 심리학
프리맥 원리(Premack’s Principle)-할머니 규칙
- 좋아하는 활동(게임)을 이용해 하기 싫은 활동(숙제)을 하도록 유도하는 행동 강화 효과 기법이다.
덜 선호하는 행동(Low-Probability Behavior, LPB)을 먼저 수행하면, 더 선호하는 행동(High-Probability Behavior, HPB)을 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
-
어떤 원숭이는 레버 누르기보다 구슬 게임을 더 좋아했다. 프리맥은 이 점을 이용해 한 가지 규칙을 만들었다.
- “레버를 눌러야만(덜 좋아하는 행동) 구슬 게임(더 좋아하는 행동)을 할 수 있다.”
- 결과는 놀라웠다. 원숭이들은 구슬 게임을 하기 위해 이전보다 훨씬 더 열심히 레버를 눌렀다.
-
프리맥은 ‘더 높은 확률로 발생하는 행동(더 좋아하는 행동)은 더 낮은 확률로 발생하는 행동(덜 좋아하는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 는 결론을 내렸다.
- 즉, ‘보상’이 꼭 사탕이나 장난감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
덜 선호하는 행동 (LPB): 목표 행동. 우리가 하기를 원하거나 시키고 싶은 행동. (예: 숙제하기, 방 청소하기, 운동하기, 서류 정리하기)
-
더 선호하는 행동 (HPB): 강화물. 보상으로 주어지는 즐겁고 하고 싶은 행동. (예: 비디오 게임하기, TV 보기, 친구와 놀기, 간식 먹기)
이 구조를 “만약 ~하면, ~할 수 있다 (If…, then…)” 또는 “먼저 ~, 그 다음에 ~ (First…, then…)” 형식으로 만들면 이해하기 쉽다.
- “만약 네가 방 청소를 다 하면, 그때 친구와 놀러 나갈 수 있다.”
- “먼저 수학 숙제를 30분 동안 하고, 그 다음에 유튜브를 30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