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23:00
Tags: 심리학
죄책감 (Guilt)
-
사회적 생존과 도덕적 성장을 위해 설계된 정상적인 감정적 경보 시스템
- 우리의 행동이 사회적 관계나 내면의 가치관을 ‘손상’시켰을 때 발생하는 ‘마음의 통증’
- 이 통증은 우리에게 “멈춰서 문제를 해결하라”고 알려주며, 더 큰 관계의 파탄이나 도덕적 타락을 막아주는 보호 장치 역할
-
원시시대 집단에게 잘못하고도 반성하지 않고 뉘우치거나 용서를 구하지 않는 개체는 무리에서 배척되어 죽음
-
외부 집단 뿐만 아니라 내면의 도덕적 기준이 되기도 함
-
죄책감은 ‘내가 잘못된 행동을 했다’는 생각에 초점을 맞추지만, 수치심은 ‘나는 나쁜 사람이다’라는 자기 존재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관련이 있다.
구분 | 죄책감 (Guilt) | 수치심 (Shame) |
---|---|---|
초점 | 행동 (Action) | 자신 (Self) |
내면의 목소리 | ”내가 나쁜 행동을 했어.” (I did a bad thing.) | ”나는 나쁜 사람이야.” (I am bad.) |
핵심 감정 | 후회, 미안함, 책임감 | 모멸감, 무가치함, 열등감 |
공개성 | 잘못을 드러내고 용서를 구하는 방향으로 이끎. | 자신을 숨기고 싶고, 사람들의 시선을 피하게 만듦. |
결과 | 관계 회복과 연결 (Connection) | 단절과 고립 (Disconnection) |
영향 | 긍정적 변화와 성장의 동기가 될 수 있음. | 자기 파괴적 행동, 중독,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