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21:54

Tags: 소프트웨어 공학

웹소켓

  • HTTP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요청과 응답 모델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 서버가 응답. 요청이 와야만 응답 가능
  • 임시 방편으로 폴링 같은 기술도 사용: 일정 주기로 계속 서버에 요청 보냄
  • 이런 HTTP 통신의 문제를 극복하고 일반 소켓 보다 웹 환경에서 더 잘 쓸 수 있는 웹소켓 표준 등장

구조. 작동 원리

  1. 시작은 HTTP. 핸드세이크
    • 클라이언트에서 일반적인 HTTP 요청을 보내되, 헤더에 웹소켓으로 갈거라는 정보 보냄
    • 서버에서 웹소켓 가능하면 응답 헤더에 값 담아 보냄
  2. 영속적 TCP 연결
    • 한번 성공하면 기존 HTTP 통신 웹소켓 연결로 전환
    • 한쪽이 닫을 때 까지 계속 유지
  3. 프레임: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 프레임이라는 작은 단위로 데이터 쪼개서 보냄

References

소켓 HTTP

개발자 필독 웹소켓(WebSocket) 핸드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