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23:19

Tags: 심리학

수치심

  • 무리의 규범이나 기대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스스로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장치
    • “너의 그 행동은 무리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어!”, “너는 지금 위험한 상태야!”라고 알려주는 일종의 ‘사회적 생존 경고 시스템’
    • 이제는 하나의 무리에서 좀 안맞아도 큰일 아닌데도 뇌는 위기상황으로 인식해서 경고 계속 보냄 문제 가능
구성 요소설명비유
자기 인식 (Self-Awareness)자신의 행동이나 상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능력. 수치심은 ‘나’를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거울.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는 행위.
타인의 시선 (The Gaze of Others)타인이 나를 어떻게 평가하고 판단할지에 대한 인식. 실제 타인이 없더라도 내면화된 타인의 시선이 작동한다.무대 위 스포트라이트. 모든 관객이 나를 주목하고 있다는 느낌.
사회적 규범 및 기대 (Social Norms & Expectations)소속된 집단이나 사회가 공유하는 바람직한 행동 기준. 이 기준에서 벗어났을 때 수치심을 느낀다.보이지 않는 규칙서. 따라야 할 지침과 어겼을 때의 결과가 암시됨.
결함의 노출 (Exposure of Flaw)자신의 부족함, 실수, 단점 등이 타인에게 드러나는 상황. 숨기고 싶은 부분이 드러났을 때 고통이 극대화된다.갑옷의 틈. 가장 약한 부분이 공격당하는 순간.
자기 비난 (Self-Blame)“내가 문제다”, “나는 가치가 없다”와 같이 문제의 원인을 자신의 존재 자체로 돌리는 생각. 행동이 아닌 ‘나’ 자신을 공격한다.내면의 재판관. 스스로에게 유죄를 선고하고 벌을 내리는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