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00:58
보조금
정부 보조금
- 정부가 특정 산업 보호, 사회적 목표 달성 등을 위해 개인이나 기업에 제공하는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재정 지원
- 현금 지급, 세금 감면, 저금리 대출 등으로 다양하며,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영향을 미쳐 시장 가격을 낮추고 소비를 촉진하는 역할
- 시장 왜곡, 국가 간 무역 분쟁, 재정 부담 증가와 같은 부작용이 존재
양면시장에서 보조금
- 양면시장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조금을 사용
- 가격에 민감하고 네트워크 효과를 더 크게 일으키는 쪽에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
- 보조금 측(Subsidy Side) : “더 가격에 민감하고, 상대방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며, 우리 플랫폼에 묶어두기 어려운 그룹”
- 플랫폼이 성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그룹.
- 이들의 존재 자체가 다른 그룹에게 큰 가치를 제공합니다.
- 수익 측(Money Side)
- 보조금 측의 존재로 인해 플랫폼에 기꺼이 돈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그룹.
- 플랫폼의 주된 수익원은 이 그룹에서 나옵니다.
- 보조금 측(Subsidy Side) : “더 가격에 민감하고, 상대방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며, 우리 플랫폼에 묶어두기 어려운 그룹”
기준 | 설명 | 예시 (우버) |
---|---|---|
1. 가격 민감도 (Price Sensitivity) | 가격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그룹에 보조금을 지급하여 이탈을 막고 참여를 유도합니다. | 승객(Subsidy Side)은 요금에 민감하므로 할인 쿠폰을 제공하고, 기사(Money Side)는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
2. 교차 네트워크 효과의 강도 | 상대 그룹에게 더 큰 가치(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는 그룹에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 기사가 많아져야 승객의 대기 시간이 줄어들고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초기에는 기사 유치에 보조금을 집중할 수 있습니다. |
3. 멀티호밍(Multi-homing) 비용 | 여러 경쟁 플랫폼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쉬운 그룹보다, 하나의 플랫폼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은 그룹에 집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승객은 우버, 카카오택시 등 여러 앱을 쉽게 설치하고 비교할 수 있습니다(멀티호밍 비용 낮음). 따라서 승객에게 보조금을 주어 자사 플랫폼 사용을 유도합니다. |
4. 사용자의 영향력 및 가치 | 플랫폼에 긍정적인 평판이나 높은 가치를 가져다주는 ‘앵커 유저’ 그룹을 유치하기 위해 보조금을 사용합니다. | 유명 게임 스트리머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트위치나 유튜브로 유치하는 경우, 해당 스트리머의 팬덤이 플랫폼으로 함께 이동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