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율적인 시간 관리: 스타트업 성공 전략 (YC Adora)

비즈니스

1. 🎯 목표 설정 및 시간의 중요성

  • 시간은 ====이며, 스타트업 생존의 ==필수 요소==이다.
  • 개인적인 시간 투자 외에 높은 ==기회비용==이 발생한다.
  • 스타트업 성공을 위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2. 🚫 가짜 진전 vs. 진짜 진전

2.1. 📉 가짜 진전 (Fake Progress)

  • 핵심 KPI 성장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활동.
    • 컨퍼런스 참석
    • 수상
    • 네트워킹
    • 잘못된 지표 최적화
  • 고객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2.2. ✅ 진짜 진전 (Real Progress)

  • 핵심 KPI (매출 또는 활성 사용자)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
  • ==주간 목표 설정이 중요.==
  • 사용자 대화 및 제품 개발/반복
  • KPI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되는 작업에 집중해야 한다.

3. 📝 작업 목록 관리 및 우선순위 결정

3.1. 📊 아이디어 스프레드시트

  • KPI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아이디어 기록
  • 아이디어를 즉시 실행하지 말고 ==기록==만 한다.
  • 갑작스러운 작업 변경으로 인한 ==혼란 방지==

3.2. 🚦 작업 등급 (Impact & Complexity)

  • 매주 스프레드시트 항목을 평가
    • ==영향력==: 높음 (High), 중간 (Medium), 낮음 (Low)
    • ==복잡성==: 쉬움 (Easy), 중간 (Medium), 어려움 (Hard)
  • 주간 목표 달성 가능성을 기준으로 등급 부여

3.3. ⚙️ 우선순위 결정

  • ==주간 목표 달성==을 위한 최적의 선택
    • 우선순위: ==높은 영향력 + 쉬운 복잡성==
    • 기피: 낮은 영향력 + 어려운 복잡성
graph LR
    A[높은 영향력] --> B(쉬움);
    A --> C(중간);
    D[낮은 영향력] --> E(쉬움);
    D --> F(중간);
    D --> G(어려움);
    A --> H(어려움); style H fill:\#f9f,stroke:#333,stroke-width:2px

4. 📈 주간 업데이트 및 회고

4.1. 📝 주간 업데이트 필수 요소

  • 주간 목표 달성 여부
  • 실패 시 주요 장애 요인
  • 수행한 작업 및 예상/실제 영향
  • 주요 학습 내용

4.2. 🔍 정기적인 회고

  • 주간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검토
    • 학습 속도 점검
    • 작업 영향 예측 정확도 평가
    • 가치 낮은 작업 침투 여부 확인
    • 주요 장애 요인 반복 여부 점검

5. ⏱️ 시간 관리 및 일정 조정

5.1. 🧩 작업 분할

  • 작업 완료 시간 부족 시, 작업 복잡성 재고
  • 작업을 더 작고 쉬운 단계로 분할

5.2. 🗓️ 메이커-매니저 스케줄 (Modified)

  • 작업 유형별 컨텍스트 전환 비용 고려
  • 코딩, 회의 등 작업 유형별 시간 분할
    • 예시: 하루 전체 코딩, 하루 전체 회의
    • 집중 시간을 확보하여 효율성 향상

6. 🚀 빠른 실행 및 의사 결정

6.1. 🎯 빠른 실행의 중요성

  • 초기 단계 스타트업은 빠른 속도로 움직여야 함
  • ==실패==를 통해 빠르게 배우고 ==방향 전환==
  • 신속한 의사 결정 및 실행이 중요

6.2. 🤔 잘못된 선택 vs. 느린 선택

  • 잘못된 선택 후 빠른 학습 > 신중하지만 느린 선택
  • 신속하게 움직이며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7. 🔑 핵심 요약

  • KPI에 직접 영향을 주는 작업에 집중

  • 주간 목표 달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작업 우선

  • 사용자 대화 및 제품 개발에 집중

  • 스타트업의 성장을 직접적으로 견인하는 ‘진짜 업무’와 겉으로만 바쁜 ‘가짜 업무’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 모든 업무는 ‘영향도’와 ‘복잡성’ 두 가지 기준을 통해 우선순위를 매기며, 가장 높은 영향도를 가진 업무부터 시작하는 것이 핵심이다.

  • 주간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여부를 정직하게 회고하는 과정을 통해, 최적의 업무를 선택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꾸준히 개선해 나간다.

1. 왜 스타트업의 시간은 돈보다 중요한가

스타트업을 창업한다는 것은 마치 한정된 연료를 가진 로켓을 발사하는 것과 같다. 로켓의 연료가 ‘돈’이라면, 이 연료를 태우는 속도, 즉 ‘시간’은 로켓이 얼마나 멀리 나아갈 수 있을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다. 창업자의 시간은 곧 돈을 태우는 속도이며,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공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핵심 자원이다.

이러한 시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창업자가 자신의 시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 개인적인 비용을 최소화하고 잠을 줄여가며 일에 매진한다고 하더라도, 중요한 것은 단순히 시간을 많이 쓴다는 것이 아니다. 주어진 시간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스타트업의 성장을 극대화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시간 관리의 목표다. 이를 위해서는 어떤 업무가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식별하고, 이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이 핸드북은 창업자가 매일 부여받은 소중한 시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막연한 ‘바쁨’을 벗어나 ‘진정한 성장’을 만들어내는 시간 관리의 원칙과 구체적인 방법을 담았다.

2. ‘진짜 성장’과 ‘가짜 성장’을 구분하는 법

성장하는 스타트업은 공통적으로 핵심 KPI(핵심 성과 지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꾸준히 개선한다. 여기서 말하는 핵심 KPI는 대부분 매출(Revenue) 또는 활성 사용자 수(Active Users)가 된다. 즉, ‘진짜 성장’이란 이러한 핵심 KPI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진짜 성장을 만드는 업무는 무엇인가. 놀랍게도 대부분의 경우, 단 두 가지로 압축된다.

  1. 사용자와 대화하기(Talking to users): 사용자와의 대화는 세 가지 중요한 효과를 낳는다.

    • 잠재 사용자를 고객으로 전환하고 매출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 제품의 방향성이 올바른지 확인하는 중요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

    •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와 다음 제품 로드맵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2. 제품을 만들고 개선하기(Building and iterating product): 이는 사용자가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과정이다.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실제 가치를 전달하고, 이것이 다시 매출이나 활성 사용자 증가로 이어지는지 검증한다.

이 두 가지 업무만이 스타트업의 바늘을 움직이는 유일한 힘이다. 이 외의 모든 활동은 ‘가짜 성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가짜 성장에 속는 이유

겉으로 보기에 매우 중요하고 생산적으로 보이는 활동들이 실제로는 스타트업의 핵심 성장에 아무런 기여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보통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컨퍼런스 참석: 중요한 네트워킹의 기회로 보이지만, 대부분의 시간은 핵심 KPI와 무관한 활동에 소모된다.

  • 수상 경력 쌓기: 스타트업의 위신을 높이는 일처럼 보이지만, 고객에게 직접적인 가치를 전달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 잘못된 지표 최적화: 방문자 수, 좋아요 수 등 핵심 KPI와 직접 관련 없는 부차적인 지표에 집착하며 시간을 낭비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단기적으로 성취감을 주고 바쁘다는 느낌을 주지만, 사실상 시간 낭비에 불과하다. 진짜 성장은 고객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핵심 지표를 높이는 것에 초점을 맞출 때만 일어난다.

3. ‘영향도’와 ‘복잡성’으로 우선순위 정하기

진짜 성장과 가짜 성장을 구분하는 원칙을 이해했다면, 이제 수많은 ‘진짜’ 업무들 사이에서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 결정할 차례다. 이는 ‘영향도(Impact)‘와 ‘복잡성(Complexity)‘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모든 업무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해결한다.

3.1. 모든 아이디어를 담는 업무 스프레드시트

먼저, 떠오르는 모든 아이디어를 즉시 실행에 옮기기 전에 하나의 스프레드시트에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이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기존의 업무를 중단하고 계획을 변경하는 ‘채찍 효과(Whiplash effect)‘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스프레드시트에는 사용자 대화, 제품 개선 등 진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아이디어만을 기록한다.

3.2. 핵심은 ‘영향도’와 ‘복잡성’으로 평가하기

일주일에 한 번, 이 스프레드시트를 검토하며 각 업무에 점수를 매기는 시간을 갖는다. 평가는 다음 두 가지 기준에 따라 진행한다.

1. 영향도 (Impact): 이 업무가 주간 목표 달성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하는가?

  • 높음 (High): 주간 목표 달성에 결정적이고 높은 성공 확률을 가진다.

  • 중간 (Medium): 목표 달성 가능성이 중간 정도이며, 성공 여부가 불확실하다.

  • 낮음 (Low): 목표 달성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거나 성공 확률이 매우 낮다.

2. 복잡성 (Complexity): 이 업무를 완료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가?

  • 쉬움 (Easy): 하루 안에 완료 가능한 일이다.

  • 중간 (Medium): 1~2일 정도 소요되는 일이다.

  • 어려움 (Hard): 여러 날이 걸리며, 일주일 내에 완료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렇게 두 가지 기준으로 모든 업무를 평가하고 나면, 자연스럽게 우선순위가 명확해진다.

쉬움 (Easy)중간 (Medium)어려움 (Hard)
높음 (High)1순위: 즉시 실행한다.2순위: 중요한 시간 덩어리를 확보해 집중한다.3순위: 여러 작은 업무로 쪼개어 해결책을 모색한다.
중간 (Medium)4순위: 여유 시간이 있을 때 진행한다.5순위: 신중하게 접근한다.6순위: 되도록이면 피한다.
낮음 (Low)7순위: 시간 낭비일 가능성이 높으니 재고한다.8순위: 시간 낭비이므로 절대 피해야 한다.9순위: 최악의 조합이다.

3.3. 절대 피해야 할 우선순위 조합

위 표에서 가장 피해야 할 업무는 바로 ‘낮은 영향도’와 ‘어려운 복잡성’이 결합된 영역이다. 이는 시간과 에너지를 대량으로 소모하면서도 결과적으로 핵심 KPI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는 업무다. 예를 들어, 많은 준비가 필요한 컨퍼런스 발표, 수많은 서류 작업을 요구하는 수상 공모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업무는 스타트업의 시간이라는 소중한 연료를 낭비하는 가장 빠른 길이다.

4. 꾸준한 성장을 만드는 주간 회고의 힘

아무리 훌륭한 우선순위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더라도, 이를 꾸준히 적용하고 개선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진정한 성장은 지속적인 자기 평가와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4.1. 정직한 주간 보고서의 작성

성공적인 창업자들은 매주 자신이 한 일을 기록하고 솔직하게 평가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 주간 보고서에는 다음 요소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 이번 주의 목표달성 여부: 목표를 달성했는지, 실패했다면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이었는지 기록한다.

  • 실행한 업무예측 영향도: 내가 이번 주에 한 업무가 원래 목표에 얼마나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는지 적는다.

  • 실제 영향도: 실제로 그 업무가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냉정하게 평가한다.

  • 이번 주의 가장 큰 배움: 이번 주 활동을 통해 무엇을 새롭게 배웠는지 정리한다.

4.2. 정기적인 자기 검토의 중요성

몇 주간 쌓인 주간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검토하면 스스로를 더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주 같은 문제가 가장 큰 장애물이었는가?’, ‘예측했던 영향도와 실제 영향도의 차이가 컸는가?’, ‘가짜 성장에 시간을 낭비한 순간은 없었는가?’ 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자기 검토는 마치 차트처럼 오르락내리락하는 스타트업의 성장을 시각화하고, 왜 하향 곡선을 그리는지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도록 돕는다. 정기적인 회고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것을 막고,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강제하는 강력한 도구다.

5. 속도를 높이는 고급 시간 관리 기술

마지막으로, 실행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속도를 높이는 몇 가지 기술을 다룬다.

5.1. 하나의 업무에 몰입하는 메이커의 시간

프로그래밍이나 복잡한 문제 해결처럼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메이커’의 업무는 잦은 맥락 전환(Context Switching)에 매우 취약하다. 이랬다 저랬다 일을 바꾸는 것은 마치 자동차가 잦은 정체 구간을 통과하듯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모하며 비효율을 낳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이커의 시간’과 ‘관리자의 시간’을 분리하는 방식을 추천한다. 예를 들어, 일주일 중 하루는 온전히 코딩에만 집중하고, 다른 하루는 사용자와의 미팅, 네트워킹 등 관리자 역할에만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다. 혼자 일하는 창업자라면 하루의 절반씩을 나누어 몰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렇게 시간을 덩어리로 묶어 사용하면 깊은 몰입 상태(Flow State)를 유지하며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5.2. 완벽한 결정을 내리기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용기

스타트업 초기에는 ‘제품 시장 적합성(Product Market Fit)‘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다. 이 목표에 얼마나 빨리 도달하는지에 따라 스타트업의 생존이 결정된다. 따라서 완벽한 계획을 세우는 데 시간을 낭비하기보다, ‘일단 실행하고 빠르게 배우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 어떤 일을 해야 할까’를 고민하며 시간을 허비하는 것보다, 일단 가장 그럴듯해 보이는 일을 선택하고 빠르게 실행한 뒤, 그 결과를 통해 배우는 사람이 장기적으로 훨씬 유리하다. 잘못된 결정을 내릴지라도 신속하게 움직여 그 오류를 깨닫고 방향을 수정하는 것이, 결정을 미루다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것보다 훨씬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

마무리: 결국, ‘무엇을 할 것인가’보다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

스타트업의 시간 관리는 결국 ‘무엇을 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문제다. 당신의 소중한 시간을 갉아먹는 ‘가짜 업무’와 ‘낮은 영향도의 업무’를 단호하게 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집중하라: 핵심 KPI를 직접적으로 개선하는 두 가지, 즉 사용자와 대화하고 제품을 만드는 일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붓는다.

  2. 우선순위를 정하라: 모든 업무를 영향도와 복잡성이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명확히 한다.

  3. 빠르게 움직이라: 완벽한 결정을 내리기보다 빠르게 실행하고, 빠르게 배우며 앞으로 나아가라.

이러한 원칙을 따른다면 당신의 스타트업은 겉으로만 바쁜 로켓이 아니라, 가장 효율적인 궤도로 빠르게 비상하는 로켓이 될 것이다.

대본

hello as Kevin said my name is Adora I'm one of the partners at YC and I'm going to talk about how to prioritize time um time as you know is precious especially when you're working on a startup um time Burns money and money is the very basic thing that keeps a startup alive um not to be too philosophical about it but even if your personal burn is super low you can eat ramen days on end which I don't suggest and you don't have to pay yourself for a very long time there's always a high opportunity cost to doing your startup so it's super important um to use your time the best way possible to maximize your startup's chance for Success which means you need to be really good at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tasks that are going to be the most impactful for your startups progress which I've noticed after going through thousands of weekly updates from startup School Founders um that a lot of Founders are not doing this well so hopefully this will be helpful uh let me first preface all of this by defining what time I'm talking about so obviously they're 24 hours in a day and I'm not here to tell you how to allocate those hours across your startup versus everything else that is important to you sleep family friends hobbies and so and so forth um everyone has different situations so it's hard for me to from up here give you good generic advice um on how to uh allocate your time across these things I'm just going to assume you're doing what's best for you whether it's 2 6 12 hours a day that you decide to work on your startup it doesn't matter to me for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 just want to help you figure out how to spend those two six or 12 hours that you've decided to allocate your startup in the best possible way all right so when it comes to things to work on your startup my guess is that uh you already have something like a task list in which you put new ideas on um to eventually work on and you update that very frequently um so let's start from there that you have a task list of things to do first I want to make a real real clear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fake startup progress uh this is the easiest way to classify whether a task goes into the should do or the should not do bucket if it contributes to real startup progress you should consider doing it and if it doesn't then don't um this seems trivial at first why would anyone do anything that amounts to fake startup progress uh but let me explain further so real startup progress is when you're really focused on things that really move the needle for your startup so to summarize your primary kpi almost always is either revenue or active users and you should always be setting weekly goals for this to move the needle on the kpis the highest leverage thing you can be doing Al always comes in the form of tasks that involve talking to users and building and iterating your product nothing else this is in direct contrast with fake startup program ress which is when founders uh focus on thing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Growing your primary kpi so common things I see in uh weekly updates are things like attending conferences focusing on winning Awards Network invents optimizing the wrong metrics while you may convince yourself these are good things to focus on there are actually many steps away from delivering real value to your customer and so of all the things you could be possibly doing spending any significant time on any of these things is almost always a bad idea the goal is not to optimize startup vanity but actually delivering value to your customer doing the things that will help you directly help you increase your kpi now that we have one way to filter what tasks you should be working on let's go a little bit deeper and figure out how to determine if you're prioritizing the right tasks this at first also seems trivial presumably you're doing what you believe is high value work I mean nobody ever says oh let me do the thing that is going to help my startup the least right uh but that's what I'm going to challenge there are hundreds of things you could be possibly working on to increase your primary kpi is what you're working on right now the best thing you can do to meet your weekly goal or have you tricked yourself into doing something else the reason I'm skeptical is because it's actually quite EAS easy for low value work to unnoticeably creep into your schedule and it actually takes a lot of work and effort to not let this happen so here's an experiment try journaling in great detail of each day in the past week every single hour so hour by hour what is it that you were exactly doing and be honest on what you thought the impact was before you actually did it and what it was in increasing your primary kpi I think you'll be surprised by how much of it was actually low value work um and the the reason is not because you're lazy or I hope not um it's more because we tend to be as humans on autopilot so we don't give much thought to what we're doing with our time and our natural instinct is actually to go for low value work because it's usually the easiest and quickest thing to accomplish and it fulfills our desires to check as many things off of a list as possible um it feels really good to check things off so um but once you're aware of this preven it is actually quite simple but it does take time thought and discipline so first if you aren't already you should keep a spreadsheet of ideas that can move your primary kpi and not to be too repetitive but these tasks are almost always a variant of two things right one talking to users and two Building Product talking to users helps you with three things right it converts them into customers and revenue or helps you convert them into customers and revenue it helps you understand if you're on the right track or not and it helps you figure out if your product uh sorry it helps you figure out your product road map and then Building Product actually delivers a solution to the user to see if it actually translates into more customers in Revenue so as you come up with these ideas you should log them into your spreadsheet and keep keep doing that as every idea you get but the key is don't do them right away uh just write them down and this is important because always switching to the thing you just thought of which always sounds better now than later causes a ton of whiplash for founders and it's a primary corate in making no progress during the week um so now you're tracking this list then once a week go through each item in your spreadsheet and grade the new and regrade the old items based on how impactful you think the task would be on achieving the weekly goal for your primary kpi there are three grades you can give to each task on your list high medium low these definitions are a little arbitrary in the sense that it's it's all gen it's all relative to whatever else is on your list but in general High means it's a task you believe that will help you meet your goal for the week with high probability uh medium is you're not sure but with okay probability you can hit your weekly goal and low is with very low probability you'll see that it's actually pretty easy to figure out what those low and high value tasks are when you compare them against everything else you could be doing which is why this exercise no matter how poentic it is is important to do so along with the impact um that it may have on your on meeting helping you achieve your weekly goal we also need to consider a second dimension of how complex the task is that is how long would it take for you and your team to complete it uh because there are many tasks within each qu category of impact for example there's like four of here in medium and three and low and sort of the question is how do I stack rank those within that category um and so this dimension of complexity helps so we can create complexity in three ways easy medium and hard so easy an easy task is something that you can do in less than a day that means you can do a bunch of easy tasks in a day a medium task is something that takes one or two days for you to do and a hard task is one that takes many days to do and you may not complete it within the week so once you go grade all of them you'll have again the second dimension here where you have impact and then also complexity and so now you can easily stack rank all the tasks in your list and pretty it's pretty easy to choose what you should prioritize so given the objective is to H hit your weekly goal the obvious choice is always to go something with the uh to go for the combos of high easy Combos and high medium that is something a task that has high impact and is easy to do you should always do those first and then go to high impact in medium uh uh medium complexity uh and you what you really don't want to do is focus on these bottom things here right something that has probably very little probability in helping you achieve your goal and is very hard to do takes a long time to do there's really no point in doing any of those things so just as important as selecting the right task to work on is making sure you don't try to do everything at once uh uh doing too many things means you won't be able to complete much with much of the task with much conviction and makes it really hard to show progress from week to week how do I know I am prioritizing my time well uh ultimately you know you've done well if you're hitting your weekly goals consistently so it's you're doing well if your graphs look like that um sadly most of us have graphs that look like this these troughs of Sara where it's decreasing um and you're kind of like stable for a while at the bottom um that's when you start doubting yourself as like am I working really on the right thing um so one way to do what you're already doing in startup school which is writing weekly updates and being really consistent and honest about it so the key components of weekly update is pretty straightforward what was your weekly goal did you succeed if not what was the biggest Blocker of the growth uh what did you do and what was the predicted impact and what was the act and what was the actual impact and what did did what did you learn this week what were the big learnings this week and then by doing an ongoing evaluation of your weekly updates it will help you improve how you select and prioritize TXS once in a while you should review all your weekly updates like from beginning check for things like do you feel like you're learning fast enough are you predicting the impact of each task well did you let low value work or even worse fake progress creep into your schedule is your biggest blocker the same thing for every week a lot of people actually get in a rough spot where they're not learning anything new um and just doing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without realizing it uh reviewing your updates will help you realize that and will force you to try to get yourself out of of that bad Loop uh in terms this last one in terms of completing tasks if you're finding yourself always running out of time to complete tasks you felt was totally possible to complete in the week I have two suggestions for you one is perhaps your task is actually too complex and you should break it down into medium and easy tasks uh the second one um is maybe it is that your schedule needs to be rejiggered a little bit I recommend a modified version of what we called the makers manager schedule um which was popular popularized by uh Paul Graham the essay is linked in the startup School library the basic idea is this there are high context switching costs to different types of tasks for example coding and meetings like talking to users uh meaning it's hard to restart and ramp back up on a task especially like coding and it's costly to exit at a time when things are finally flowing and you're getting stuff done so if you you find yourself switching back and forth tooo much it may be that you're wasting time and need to rejigger things so you have a continuous CH uh continuous chunk of time devoted to each one so many people will actually uh split their uh divide their week into days right so one full day they'll just spend coding and then the next full day they'll spend meetings and talking to users and so forth um instead of having like one hour here one hour there one hour there um uh for people who need to get more stuff done in the day then they'll do half the day they'll spend coding and the half the day they'll uh spend talking to users uh so this is for any solo Founders out there um this is incredibly important for you because um you don't have the opportunity to divvy up the work across multiple people all right so I'll end with one final piece of advice um which is moving fast so in the beginning of your startup your primary objective is to move as quickly as possible to prove that you're building something people want the faster you figure this out the faster you can pivot into something or have the confidence that you have product Market fit and can start scaling and building a tremendous business so making decisions thoughtfully and quickly is super important time is often wasted in indecisiveness the key is to be okay with making a wrong choice and learning fast so of course choosing the right thing to do at the ge-go is the best thing possible um but it's also the case that a person who chooses the wrong task to work on today but moves quickly learns why it's wrong and moves to the right one is better off than the person that takes forever to choose the right tasks to work on and is twiddling their slums working on low value stuff in the meantime that's all I have today on how to prioritize time to summarize what you should be doing always be working on things that directly impact your primary kpi do the things that have the highest impact to meeting your weekly goal and that usually always means what talking to users and Building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