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 테스트 핸드북
주요 메시지
통합 테스트는 개별적으로 검증된 모듈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될 때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흐름의 결함을 조기에 발견·해결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된 필수 단계이다.
1. 통합 테스트가 만들어진 이유
- 인터페이스 오류 조기 발견
- 모듈 간 호출 방식(API, 메시지 큐 등)이나 데이터 포맷 불일치를 유닛 테스트로는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통합 단계에서 검증한다.
- 데이터 흐름·호출 경로 검증
- 사용자 요청이 프론트엔드→백엔드→DB 등 여러 계층을 거칠 때 각 지점에서 데이터가 일관되게 전달되는지 확인한다.
- 외부 시스템 연동 보증
- 제3자 API, 마이크로서비스,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와의 연계를 점검해 실제 운영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를 방지한다.
- 시스템 신뢰성 강화
- 통합 테스트로 식별된 이슈는 운영 전 단계에서 수정되어 릴리스 후 장애 위험을 크게 낮춘다.
2. 통합 테스트의 구조
구분 | 설명 |
---|---|
대상 | 개별 유닛 단위로 검증된 모듈 간 상호 작용 |
입력 | 유닛 테스트 완료된 모듈 또는 서비스 집합 |
검증 범위 | 인터페이스 호출, 데이터 변환·전달, 예외 처리, 상태 전이 |
출력 | 통합 테스트 리포트 및 로그 (성공/실패, 에러 세부 정보) |
위치 | 유닛 테스트 후, 시스템 테스트 전 |
3. 통합 테스트의 유형
- 빅뱅 통합 테스트
- 모든 모듈을 한꺼번에 결합하여 테스트 (빠른 전체 검증, 디버깅 어려움)1.
- 점진적 통합 테스트
- 모듈을 순차적으로 통합하며 단계별로 검증
- 상향식(Bottom-Up) / 하향식(Top-Down) / 샌드위치(혼합) 방식1.
- 리스크 기반 통합 테스트
- 핵심 통합 지점(결제, 인증 등) 위주로 우선 검증
4. 통합 테스트 수행 절차
- 범위 정의
- 검증할 통합 포인트와 시나리오 도출2.
-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
- 데이터 흐름, 예외 상황, 동시성, 외부 호출 등 포함
- 테스트 데이터 준비
- 운영 환경과 유사한 실제성 높은 데이터 사용1.
- 목·스텁 활용
- 미완성 모듈 대신 목(Mock)/스텁(Stub)으로 대체하여 조기 테스트 가능3.
- 환경 구성
- CI 파이프라인, 컨테이너, 가상화 환경에서 자동화
- 테스트 실행
- 자동화된 스크립트를 통해 지속적 통합(CI) 과정에 포함
- 결과 분석 및 리포팅
- 실패 시 모듈별 로그 분석 후 결함 수정
- 반복 검증
- 수정 후 동일 시나리오를 재실행하여 회귀 확인
5. 주요 도전 과제
- 디버깅 복잡성: 빅뱅 방식 시 결함 원인 모듈 식별이 어렵다.
- 환경 동기화: 로컬·스테이징·실제 운영 환경 간 설정 차이로 인한 불일치
- 의존성 관리: 외부 서비스 변화나 목·스텁 유지 보수 부담
- 테스트 속도: 단계별 테스트가 늘어날수록 전체 실행 시간이 증가
6. 모범 사례
- 조기·지속적 실행: 유닛 테스트와 병행하여 기능 브랜치 단계부터 통합 검증4.
- 우선순위 기반 테스트: 장애 발생 위험이 큰 시나리오 우선 적용
- 자동화 도구 활용: CI 도구(Jenkins, GitHub Actions 등)에 통합
- 테스트 데이터 격리: 환경별 데이터베이스 격리 및 초기화 스크립트
- 목·스텁 표준화: 재사용 가능한 테스트 더블 관리 라이브러리 운영
- 주기적 시나리오 리뷰: 기능 변경·추가에 맞춰 시나리오 업데이트
7. 통합 테스트 활용 예시
- 전자상거래 시스템: 상품 조회→장바구니→결제 게이트웨이 연동
- 금융 애플리케이션: 로그인→실시간 잔액 조회→이체 서비스 통합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사용자 서비스↔인증 서비스↔알림 서비스 상호작용 검증
8. 결론
통합 테스트는 모듈 간 실제 통신 경로와 데이터 연계를 검증하여 시스템 전반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핵심 단계다. 단계별 점진적 접근과 지속적 자동화, 현실성 높은 테스트 데이터 및 목·스텁 활용을 통해 버그를 조기에 차단하고 운영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