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관점에서 본 인간 감정의 본질
감정은 인간 경험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복합적인 현상 중 하나입니다. 최신 신경과학과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감정은 단순한 느낌 이상의 복잡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미국심리학회(APA)는 감정을 “경험적, 행동적, 생리적 요소를 포함하는 복합적 반응 패턴”으로 정의하며, 개인적으로 중요한 문제나 상황을 다루는 방식이라고 설명합니다. 현대 뇌과학은 감정이 특정한 신경학적 특징을 가진 생물학적 사건임을 밝혀냈으며, 이는 우리의 생존,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12345
감정의 과학적 정의와 특성
감정에 대한 과학적 합의는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연구자들은 감정이 여러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복합적 현상이라는 점에 동의합니다. 기계론적 관점에서 감정은 “특정한 생리적 활동 패턴과 연관된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경험”으로 정의됩니다.3
감정은 다음과 같은 핵심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163
주관적 경험: 개인이 내적으로 느끼는 감정 상태입니다. 이는 의식적으로 인식되는 감정적 체험을 포함하며, 개인의 과거 경험, 신념,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생리적 반응: 감정과 함께 나타나는 신체 변화들입니다. 심박수 증가, 호르몬 분비, 근육 긴장, 뇌 활동 패턴 변화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는 감정의 생물학적 기반을 보여줍니다.
행동적 표현: 얼굴 표정, 몸짓, 목소리 톤 등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는 감정의 표현입니다. 이는 사회적 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인지적 평가: 상황에 대한 개인의 해석과 판단 과정입니다. 동일한 사건이라도 개인이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감정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행동 준비성: 감정은 특정한 행동을 준비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두려움은 도피 행동을 준비시키고, 분노는 대응 행동을 준비시킵니다.63
Primary components of the limbic system involved in emotional processing in the human brain.
감정과 유사한 개념들 사이의 구별도 중요합니다. **느낌(feelings)**은 감정의 주관적 표현으로, 감정보다 더 개인적이고 의식적인 차원을 포함합니다. **기분(mood)**은 감정보다 지속시간이 길고 강도가 낮으며, 특정한 자극 없이도 나타날 수 있는 정서 상태입니다. **정동(affect)**은 감정, 기분, 기질을 포괄하는 더 넓은 개념입니다.13
감정의 신경과학적 기반
현대 신경과학 연구는 감정이 뇌의 특정 영역과 신경회로에 의해 처리된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감정 처리에 관여하는 주요 뇌 구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74
편도체(Amygdala): 뇌의 감정적 경보 시스템 역할을 합니다. 위험 탐지, 감정 기억 형성, 공포 조건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편도체는 우리 환경에서 잠재적 위험을 지속적으로 스캔하며, 위협을 감지하면 투쟁-도피 반응을 활성화시킵니다. 불안 장애 환자들은 종종 편도체의 과활성을 보이며, 이는 위협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과도한 공포 반응을 설명합니다.4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 감정 조절의 중추 역할을 합니다. 편도체의 활동을 억제하여 충동적인 감정 반응을 조절하고, 사회적 인지와 의사결정에 관여합니다. 마음챙김 명상이 전전두피질과 편도체 간의 연결을 강화하여 감정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4
해마(Hippocampus): 감정적 맥락을 제공하고,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며, 감정 기억의 인출에 관여합니다. 해마는 감정 경험을 적절한 맥락 안에 배치하여 과거 위험과 현재의 실제 위험을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만성적 스트레스는 해마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PTSD 환자들이 종종 과거의 외상 사건이 현재에도 일어나고 있다고 느끼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4
뇌의 좌우 반구는 감정 처리에서 서로 다른 특화를 보입니다. 우뇌 전두피질은 부정적 감정과 회피 동기와 더 연관되어 있으며, 공포, 혐오, 슬픔 경험 시 더 활발해집니다. 우울증 환자들은 종종 우측 전전두피질에서 높은 기저 활동을 보입니다. 반면 좌뇌 전두피질은 긍정적 감정과 접근 동기와 연관되어 있으며, 기쁨, 열정, 흥미 경험 시 더 활발해집니다. 좌측 전두엽 활동이 높을수록 더 낙관적인 성향과 감정적 회복력을 보입니다.4
Brain regions involved in emotion and limbic system functions in rodents and humans, including the prefrontal cortex, amygdala, hippocampus, and other related structures.
주요 감정 이론들
감정이 어떻게 발생하고 작동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습니다. 각 이론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감정의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8910
주요 감정 이론들의 비교: 감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7가지 핵심 이론적 접근법
**제임스-랑게 이론(James-Lange Theory)**은 생리적 변화가 감정을 일으킨다고 주장합니다. “우리가 슬퍼서 우는 것이 아니라, 울어서 슬픈 것”이라는 유명한 표현으로 요약됩니다. 이 이론은 감정의 신체화를 강조하며, 신체 피드백이 감정 경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현대 연구에 영향을 주었습니다.810
**캐논-바드 이론(Cannon-Bard Theory)**은 생리적 반응과 감정 경험이 동시에 독립적으로 발생한다고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시상의 역할을 강조하며, 감정의 신속성을 설명하는 데 기여했습니다.118
**샤터-싱어의 이원 요인 이론(Two-Factor Theory)**은 생리적 각성과 인지적 해석의 결합이 감정을 만든다고 봅니다. 동일한 생리적 각성도 상황에 따라 다른 감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합니다.98
**인지적 평가 이론(Cognitive Appraisal Theory)**은 상황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감정을 결정한다고 주장합니다. 리차드 라자루스가 주창한 이 이론은 개인차와 상황적 맥락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잘 설명하며, 인지행동치료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습니다.39
**기본 감정 이론(Basic Emotions Theory)**은 진화적으로 형성된 보편적 기본 감정들이 존재한다고 봅니다. 폴 에크만은 분노, 놀라움, 혐오, 즐거움, 두려움, 슬픔의 6가지 기본 감정을 제시했습니다. 이 감정들은 뚜렷한 얼굴 표정을 가지며 문화를 초월하여 인식됩니다.121314
Illustrations of the six basic emotions: happiness, sadness, fear, anger, disgust, and surprise, as identified by Paul Ekman.
**차원 이론(Dimensional Theory)**은 감정을 유인가(긍정-부정)와 각성도(높음-낮음)의 두 차원으로 설명합니다. 이 접근법은 감정의 연속성과 개별 감정 간의 관계를 잘 보여줍니다.3
**구성주의 이론(Constructionist Theory)**은 감정이 더 기본적인 심리적 과정들로부터 구성된다고 봅니다. 리사 펠드먼 바렛의 “구성된 감정 이론”은 뇌가 신체 상태, 상황적 맥락, 과거 경험을 통합하여 감정을 구성한다고 설명합니다.5
감정의 진화적 기능
감정은 인간의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인 적응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감정은 우리 조상들이 직면했던 다양한 적응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진화했습니다.151617
감정의 진화적 기능: 인간의 주요 감정들이 생존과 사회적 적응에서 수행하는 역할
생존과 위협 탐지: 두려움은 위험으로부터 빠르게 도피할 수 있게 하고, 분노는 자원을 보호하고 자기방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혐오는 해로운 물질을 피하게 하여 질병과 중독을 예방합니다. 이러한 감정들은 생존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행동을 동기화합니다.16
기억 강화: 감정적으로 강렬한 경험은 더 생생하게 기억됩니다. 이는 과거 경험으로부터 학습하고, 위험을 피하거나 유익한 행동을 반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가 기억 공고화를 강화시키는 신경학적 메커니즘이 이를 뒷받침합니다.316
사회적 의사소통: 얼굴 표정, 몸짓, 목소리를 통한 감정 표현은 타인에게 내부 상태를 전달하여 협력, 유대감 형성, 사회적 관계 유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미소는 친근함을 전달하고, 찡그림은 불쾌감이나 위험을 신호합니다. 이러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 이전부터 존재했던 중요한 사회적 도구입니다.16
동기 부여와 행동 조절: 행복은 유익한 활동을 반복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슬픔은 에너지를 보존하며 타인의 도움을 구하게 합니다. 자부심은 성취를 추구하게 하고, 죄책감은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게 합니다.1816
번식과 양육: 사랑과 애착은 짝 결합과 자녀 양육을 가능하게 하여 유전자 전달을 보장합니다. 질투는 배우자를 보호하여 번식 성공을 높입니다. 부모의 사랑은 자녀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킵니다.17
감정의 종류와 분류
감정을 분류하는 방식은 이론적 접근에 따라 다양합니다. 가장 영향력 있는 분류는 폴 에크만의 기본 감정 이론입니다.121319
에크만의 6가지 기본 감정:
- 분노: 눈썹을 찡그리고 입술을 압박하는 표정을 보입니다
- 혐오: 코를 찡그리고 상순을 올리는 표정을 나타냅니다
- 두려움: 눈썹을 올리고 눈을 크게 뜨며 입을 벌리는 표정을 보입니다
- 행복: 입꼬리를 올리고 눈가에 주름이 지는 표정을 나타냅니다
- 슬픔: 눈썹 안쪽을 올리고 입꼴이 아래로 처지는 표정을 보입니다
- 놀라움: 눈썹과 눈꺼풀을 높이 올리고 입을 벌리는 표정을 나타냅니다
Diagram illustrating James-Lange, Cannon-Bard, Schachter-Singer, and Lazarus theories of emotion using the example of fear from a snake.
이후 연구에서는 경멸, 안도감, 동정심 등이 추가로 확인되었습니다. 로버트 플루치크는 8가지 기본 감정을 제시하며 “감정의 바퀴”를 개발했습니다: 기쁨-슬픔, 분노-두려움, 신뢰-혐오, 놀라움-예상.312
복합 감정들도 중요합니다. 사랑은 기쁨, 신뢰, 애착이 결합된 것이고, 질투는 두려움, 분노, 슬픔이 혼합된 것입니다. 현대 연구에서는 27가지 구별되는 감정 경험이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감탄, 숭배, 미적 감상, 즐거움, 분노, 불안, 경외, 어색함, 지루함, 평온, 혼란, 갈망, 혐오, 공감적 고통, 황홀감, 흥분, 두려움, 공포, 흥미, 기쁨, 향수, 안도감, 로맨스, 슬픔, 만족, 성적 욕구, 놀라움 등입니다.173
자기 의식적 감정들인 부끄러움, 죄책감, 자부심, 당혹감은 자아 인식이 발달한 후에 나타나는 고차 감정입니다. 이들은 사회적 규범과 개인의 자아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2021
감정과 인지의 상호작용
전통적으로 감정과 인지는 별개의 과정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신경과학은 이들이 깊이 통합된 시스템임을 보여줍니다.45
감정이 인지에 미치는 영향:
주의 할당: 감정적 자극은 중성적 정보보다 주의를 더 쉽게 끕니다. “감정적 현저성” 현상으로 알려진 이는 감정적 뉴스 헤드라인이 사실적 헤드라인보다 더 관심을 끄는 이유를 설명합니다.4
기억 강화: 감정적 각성은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촉발하여 기억 공고화를 강화시킵니다. 감정적 사건들이 더 생생하게 기억되는 이유입니다.4
의사결정 편향: 감정 상태는 의사결정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불안은 위험 회피적 선택을 하게 하고, 분노는 위험 감수적 선택을 하게 만듭니다.4
인지가 감정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평가: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이 감정 반응을 크게 좌우합니다. 발표를 기회로 보면 흥분을, 위협으로 보면 불안을 느끼게 됩니다.4
주의 통제: 의도적으로 주의를 특정 자극에 집중하거나 회피함으로써 감정 반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4
정신적 시간여행: 미래 시나리오를 상상하거나 과거를 회상하는 능력은 현재 일어나지 않은 사건에 대해서도 감정을 경험하게 합니다.4
이러한 감정-인지 상호작용의 이해는 인지행동치료(CBT)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사고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신경 수준에서 감정 반응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4
감정 조절과 관리
감정 조절은 감정의 강도, 지속시간, 표현을 의도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정신건강과 사회적 기능에 매우 중요한 생활 기술입니다.222324
감정 조절 전략들:
인지적 재평가: 상황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감정적 영향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선제적 전략 중 하나로, 편도체 활동을 억제하고 전전두피질을 활성화시킵니다.2322
주의 전환: 감정을 유발하는 자극에서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는 것입니다. 단기적으로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재평가만큼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22
표현적 억제: 감정의 외적 표현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사회적으로 필요할 때 유용하지만, 생리적 각성은 지속되어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2322
마음챙김: 현재 순간의 감정을 판단 없이 관찰하는 것입니다. 전전두피질과 편도체 간의 연결을 강화하여 감정 조절 능력을 향상시킵니다.423
신경과학 기반 조절 방법들:
명상과 마음챙김: 규칙적인 명상은 전전두피질과 편도체 간의 연결을 강화시켜 감정 조절 능력을 향상시킵니다.4
신체 운동: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해마에서 새로운 뉴런의 생성을 촉진하고 기분 조절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증가시킵니다.4
수면 관리: 충분한 수면은 전전두피질 기능에 필수적이며, 수면 부족 시 감정 조절이 어려워집니다.4
감정 발달과 생애주기
감정 능력은 생애 전반에 걸쳐 발달합니다. 이는 뇌 발달, 인지 능력의 성숙, 사회적 경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25202621
감정 발달의 생애 단계: 출생부터 성인기까지 감정능력과 정서 이해의 발달 과정
영아기 (0-2세): 기본 감정들(기쁨, 괴로움, 혐오, 놀라움)이 나타나고, 점차 두려움과 분노가 발달합니다. 사회적 참조와 감정적 전염이 시작되며, 애착 관계가 형성됩니다.2021
유아기 (2-5세): 자기 의식적 감정(부끄러움, 죄책감, 자부심)이 발달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감정 조절의 기초 전략들이 나타나지만 아직 미숙합니다.2620
학령기 (6-11세): 감정 이해가 깊어지고 표시 규칙을 학습합니다. 문화적 규범에 따라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며, 또래 관계에서 감정적 기술을 발달시킵니다.2026
청소년기 (12-18세): 감정의 강도가 증가하고 정체성 관련 감정이 중요해집니다. 변연계는 성숙했지만 전전두피질은 아직 발달 중이어서 감정 조절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2120
성인기: 전전두피질이 완전히 성숙하면서(~25세) 일관된 감정 조절이 가능해집니다. 감정적 지혜와 복잡한 감정 조절 전략들이 발달합니다.21
감정의 문화적 차이
감정의 보편성에도 불구하고, 감정 표현과 조절에는 상당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합니다.2728293031
개인주의 vs 집단주의 문화: 개인주의 문화(미국, 독일)에서는 개인의 감정 표현이 진정성의 표현으로 여겨지지만, 집단주의 문화(일본, 중국)에서는 사회적 조화를 위해 감정을 억제하는 것이 성숙의 표현으로 간주됩니다.2927
고맥락 vs 저맥락 문화: 고맥락 문화에서는 감정의 의미가 맥락과 비언어적 신호에 의존하는 반면, 저맥락 문화에서는 직접적이고 명시적인 감정 표현이 선호됩니다.27
감정 어휘의 차이: 포르투갈어의 ‘사우다지(saudade)‘나 일본어의 ‘모노노아와레(mono no aware)’ 같은 감정은 다른 언어로 완전히 번역되지 않습니다. 이는 문화가 감정 경험 자체를 형성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27
각성 선호도: 서구 문화는 높은 각성의 긍정 감정(흥분, 열정)을 선호하는 반면, 동아시아 문화는 낮은 각성의 긍정 감정(평온, 만족)을 더 가치 있게 여깁니다.30
성별 차이: 아시아 문화에서는 다른 문화권에 비해 감정 표현의 성별 차이가 적으며, 이는 강한 규범적 감정 표시 규칙을 시사합니다.29
현대 감정 연구의 동향
감정 연구 분야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러 흥미로운 방향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28532
신경영상 기술의 발전: fMRI, PET 스캔 등의 기술을 통해 감정 처리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변량 패턴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감정 범주들을 뇌 활동 패턴으로 구별할 수 있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345
구성주의적 접근: 전통적인 기본 감정 이론에서 벗어나 감정을 더 기본적인 과정들로부터 구성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감정의 다양성과 맥락 의존성을 더 잘 설명합니다.5
문화 신경과학: 다양한 인구집단을 포함한 연구를 통해 문화적 요인이 신경 수준에서 감정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있습니다.285
일상 감정 역학: 실험실이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감정 변화, 강도, 안정성, 분화도 등을 연구하는 분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3
개인맞춤형 중재: 뇌영상을 통해 개인의 감정 장애 패턴을 파악하여 더욱 개인화된 치료법을 개발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4
디지털 감정 모니터링: 심박변이도 등의 생리적 지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감정 상태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4
결론
감정은 단순한 느낌 이상의 복잡하고 정교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시스템입니다. 현대 과학의 발전을 통해 우리는 감정이 생존과 적응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특정한 신경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134
감정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은 각각 감정 현상의 서로 다른 측면을 조명하며, 통합적 이해를 위해서는 생리적, 인지적, 사회적, 문화적 요소들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감정은 개인의 웰빙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의사결정, 학습, 창의성에 이르기까지 인간 경험의 모든 영역에 깊이 관여하고 있습니다.49165
미래의 감정 연구는 개인차와 문화적 다양성을 더욱 포용하고, 일상생활에서의 감정 경험에 초점을 맞추며, 개인맞춤형 감정 관리 전략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발전은 정신건강 치료, 교육,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입니다.532
궁극적으로 감정을 이해하는 것은 인간이 무엇인지,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열쇠입니다. 감정은 우리를 인간답게 만드는 핵심적 특성 중 하나이며, 이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계속해서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것입니다.15175
Footnotes
-
https://online.uwa.edu/news/emotional-psychology/ ↩ ↩2 ↩3 ↩4
-
https://en.wikipedia.org/wiki/Emotion ↩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https://psychology.town/fundamentals-of-mental-health/emotions-brain-neuroscience-behind-feelings/ ↩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785564/ ↩ ↩2 ↩3 ↩4 ↩5 ↩6 ↩7 ↩8 ↩9 ↩10
-
https://www.psy.chula.ac.th/en/feature-articles/what-are-emotions/ ↩ ↩2
-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neuroscience/articles/10.3389/fnins.2022.989988/full ↩
-
https://jackwestin.com/resources/mcat-content/emotion/theories-of-emotion ↩ ↩2 ↩3 ↩4
-
https://www.verywellmind.com/theories-of-emotion-2795717 ↩ ↩2 ↩3 ↩4
-
https://www.verywellmind.com/what-is-the-james-lange-theory-of-emotion-2795305 ↩ ↩2
-
https://imotions.com/blog/learning/research-fundamentals/how-many-emotions/ ↩ ↩2 ↩3
-
https://www.morphcast.com/blog/paul-ekman-6-basic-emotions/ ↩ ↩2
-
https://thelivingfossils.substack.com/p/the-adaptive-role-of-emotions ↩ ↩2
-
https://jackwestin.com/resources/mcat-content/emotion/adaptive-role-of-emotion ↩ ↩2 ↩3 ↩4 ↩5 ↩6
-
https://labs.la.utexas.edu/buss/files/2013/02/Al-ShawafEmotion-Review-2015.pdf ↩ ↩2 ↩3 ↩4
-
https://www.umb.edu.pl/photo/pliki/progress-file/phs/phs_2018_1/182-188_janocha.pdf ↩
-
https://www.child-encyclopedia.com/emotions/according-experts/emotional-development-childhood ↩ ↩2 ↩3 ↩4 ↩5 ↩6
-
https://developingchild.harvard.edu/wp-content/uploads/2024/10/Childrens-Emotional-Development-Is-Built-into-the-Architecture-of-Their-Brains.pdf ↩ ↩2 ↩3 ↩4 ↩5
-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behavioral-neuroscience/articles/10.3389/fnbeh.2022.947063/full ↩ ↩2 ↩3 ↩4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775274/ ↩ ↩2 ↩3 ↩4
-
https://beyou.edu.au/resources/fact-sheets/social-and-emotional-learning/emotional-development ↩ ↩2 ↩3
-
https://danieldashnawcouplestherapy.com/blog/cultural-differences-in-emotional-expression ↩ ↩2 ↩3 ↩4
-
https://www.thetransmitter.org/the-big-picture/emotion-research-has-a-communication-conundrum/ ↩ ↩2
-
http://www.min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30 ↩
-
https://buddhistculture.co.kr/special/?bmode=view\&idx=21499272 ↩
-
http://kocw.xcache.kinxcdn.com/KOCW/document/2019/edu/global/ohchangyeong1202/4.pdf ↩
-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sychology/articles/10.3389/fpsyg.2015.00851/full ↩
-
https://www.psy.ox.ac.uk/research/social-foundations/EmoChiProject ↩
-
https://imentiv.ai/blog/the-psychology-behind-emotional-engagement-in-child-development/ ↩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49763424004342 ↩
-
https://headstart.gov/school-readiness/effective-practice-guides/social-emotional-develop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