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02:47

Tags:

프로그래밍의 심장, 메서드(Method) 완전 정복 핸드북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는 벽 중 하나가 바로 ‘메서드’ 또는 ‘함수’. 이 핸드북은 메서드가 왜 필요하고, 어떻게 생겼으며,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모든 것을 명쾌하게 설명.

1. 메서드는 왜 만들어졌나?: 반복 작업의 비극을 막기 위해

컴퓨터가 가장 잘하는 일은 반복. 하지만 사람이 같은 코드를 계속 반복해서 작성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실수를 유발.

상황: 빵집에서 “팥빵 만들기” 레시피가 있다고 가정.

  1. 밀가루와 팥을 준비한다.

  2. 반죽을 만든다.

  3. 팥을 넣고 모양을 만든다.

  4. 오븐에 굽는다.

이 레시피 없이 빵을 만들 때마다 모든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새로 생각하고 실행해야 한다면? 매우 번거로울 것.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묶음이 여러 곳에서 필요할 때, 그것을 복사-붙여넣기 하는 것은 끔찍한 일. 만약 그 기능에 수정이 필요하다면, 붙여넣기 한 모든 곳을 찾아 일일이 고쳐야 함.

해결책: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서드가 탄생. “팥빵 만들기”라는 이름표를 붙인 하나의 잘 정리된 레시피(코드 묶음)를 만들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팥빵 만들기!”라고 외치기만 하면(메서드를 호출하면) 되는 것. 이것이 바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는 핵심 원리.

비유: 메서드는 커피 머신의 ‘아메리카노 추출’ 버튼. 우리는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되고, 기계 내부의 복잡한 과정(원두 갈기, 물 데우기, 압력으로 추출하기)에 대해서는 신경 쓸 필요가 없음.

2. 메서드의 구조: 한눈에 보는 해부도

메서드는 크게 **‘선언부(Signature)‘**와 **‘구현부(Body)‘**로 구성. 마치 기계의 이름과 명세서, 그리고 실제 작동하는 내부 부품과 같음.

예시 코드 (Java 기준)

public int add(int number1, int number2) {
    int result = number1 + number2;
    return result;
}

이 코드를 통해 메서드의 4대 핵심 요소를 해부해 보자.

  1. 메서드 이름 (Method Name): add

    • 역할: 메서드의 정체성. 이 기능이 어떤 동작을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주는 이름. ‘더하기’ 기능을 하므로 add라는 직관적인 이름 사용.
  2. 매개변수 (Parameter): (int number1, int number2)

    • 역할: 메서드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입력값(재료). add 메서드는 두 개의 정수(int)를 더해야 하므로, number1number2라는 두 개의 정수 타입 변수를 입력으로 받음. 괄호 () 안에 정의하며, 필요 없으면 비워둘 수 있음.
  3. 반환 타입 (Return Type): int

    • 역할: 메서드가 모든 작업을 마친 후, 자신을 호출한 곳에 돌려주는 결과물의 종류(타입). add 메서드는 두 정수를 더한 결과값인 정수(int)를 반환. 만약 돌려줄 결과물이 없다면 void라고 명시.
  4. 접근 제어자 (Access Modifier): public

    • 역할: 이 메서드를 누가 사용할 수 있는지 접근 범위를 지정. public은 ‘공개’라는 의미로, 프로젝트 내 어디서든 이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음을 의미. private(비공개) 등 다른 제어자도 존재.

구현부 (Body): { ... }

  • 중괄호 {} 안에 있는 모든 코드. 메서드가 호출되었을 때 실제로 수행되는 작업의 절차를 상세히 기술. add 메서드의 경우, 두 매개변수를 더해 result 변수에 담고, 그 resultreturn 키워드를 통해 반환하는 작업을 수행.

3. 메서드 사용법: ‘호출’이라는 마법

잘 만들어진 메서드는 **호출(Call)**을 통해 사용. 필요한 곳에서 메서드의 이름을 부르고, 필요한 재료(인자)를 넘겨주면 됨.

예시 코드

// 계산기 객체(Object)를 하나 만든다.
Calculator myCalculator = new Calculator();

// myCalculator의 add 메서드를 '호출'한다.
// 숫자 5와 10을 '인자(Argument)'로 전달한다.
int sum = myCalculator.add(5, 10);

// 변수 sum에는 메서드가 반환한 값인 15가 저장된다.
System.out.println(sum); // 출력: 15
  • 호출(Call): myCalculator.add(5, 10)처럼 객체와 함께 메서드 이름을 부르는 행위.

  • 인자(Argument): 메서드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 자리에 실제로 넣어주는 값. 위 예시에서는 510이 인자.

4. 심화 학습: 알아두면 쓸모 있는 메서드 지식

  • 함수(Function) vs. 메서드(Method)

    • 엄밀히 말해, 메서드는 특정 클래스(객체)에 소속된 함수. 반면 함수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 하지만 최근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이 둘을 엄격히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는 경우가 많음. “객체의 행동 = 메서드”로 이해하면 가장 정확.
  • 메서드 오버로딩 (Method Overloading)

    •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여러 개 정의하는 기술. 단, 매개변수의 개수나 타입이 달라야 함.

    • 예시: print(String text)print(int number)는 이름은 같지만 다른 매개변수를 받으므로 오버로딩이 가능. 컴파일러가 인자의 타입을 보고 어떤 메서드를 호출할지 알아서 판단.

  • 메서드 오버라이딩 (Method Overriding)

    • 상속 관계에서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하는 것. 이름, 매개변수, 반환 타입이 모두 같아야 함.

    • 예시: Animal 클래스의 speak() 메서드를 Dog 클래스에서는 “멍멍!”으로, Cat 클래스에서는 “야옹”으로 내용을 바꿔서 구현.

메서드는 단순히 코드를 재사용하는 것을 넘어, 프로그램을 논리적인 부품 단위로 분해하여 복잡한 문제를 쉽게 해결하도록 돕는 프로그래밍의 핵심 철학입니다.

이제 메서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셨으니, 다음으로 ‘객체(Object)‘와 ‘클래스(Class)‘의 관계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References

메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