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 확장자(Extension) 핸드북
핵심 요약: 파일 확장자는 파일명 뒤에 붙는 접미사로, 파일 내부의 데이터 구조를 식별하고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이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올바른 확장자 사용은 호환성·보안·효율성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1. 개념 및 목적
파일 확장자란 파일명 끝에 마침표(.)와 함께 붙는 1~4자 알파벳·숫자 문자열로, 파일의 데이터 형식 및 의도된 용도를 나타낸다1.
- 목적:
- 운영체제에 적합한 프로그램 연계
- 사용자에게 파일 유형 직관 제공
- 보안상 잠재적 위험 식별
2. 구조 및 분류
2.1 구조
- 기본 구조:
<파일명>.<확장자>
- 다중 확장자:
archive.tar.gz
→tar
(아카이브),gz
(gzip 압축)1 - 변형 예:
test.3.2.csv
(최종 마침표 뒤만 확장자로 인식)
2.2 분류
분류 | 확장자 예시 | 설명 |
---|---|---|
문서 | .txt, .docx, .pdf | 일반 텍스트·워드·PDF 문서2 |
이미지 | .jpg, .png, .gif | 비손실·손실 압축 이미지2 |
오디오 | .mp3, .wav, .aac | 스트리밍·편집용 오디오2 |
비디오 | .mp4, .avi, .mkv |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2 |
압축 | .zip, .rar, .tar.gz | 아카이브 및 압축 파일2 |
실행 | .exe, .bat, .sh | 실행 스크립트·바이너리3 |
3. 운영체제별 처리 방식
3.1 Windows
- 확장자 기반 매핑:
.docx
→ Word,.xlsx
→ Excel 자동 연계4 - 기본 숨김 설정으로 사용자에게 확장자 숨김 → 보안 위험 증가 가능
- 변경 시 경고 팝업
3.2 macOS·Linux
- MIME 타입 및 파일 헤더 기반 인식5
- 확장자 미존재 시에도 내부 메타데이터로 파일 처리
- 확장자 변경 시 경고 및 재연결 시도
4. 활용 및 관리
4.1 유용성
- 정확한 프로그램 연결: 불필요한 오류 방지
- 파일 분류·조직화: 자동화 스크립트·백업 정책에 활용
4.2 보안
- 더블 확장자 주의:
invoice.pdf.exe
형태 악성코드 위장3 - 알려지지 않은 확장자 검사: 미확인 파일 실행 전 확인
4.3 변경 및 사용자 설정
- Windows: 파일 탐색기 → 보기(View) → ‘파일 이름 확장명’ 체크
- macOS: Finder → 환경설정 → ‘모든 파일 확장명 보기’ 체크
5. 심화 주제
5.1 커스텀 확장자
- 소프트웨어 개발 시 고유 포맷 식별용 정의 가능
manifest.json
등 웹브라우저 확장 파일의 핵심 메타데이터6
5.2 메타데이터와 확장자
- 일부 파일 포맷은 확장자 없이도 내부 헤더로 식별 가능
- 모바일 앱 패키징(
.apk
) 등 복합 구조 포맷
핸드북 사용법 요약:
- 파일 생성 시 올바른 확장자 지정
- 운영체제별 확장자 표시 옵션 활성화
- 미확인 확장자 파일 실행 전 반드시 안전성 검토
- 개발 및 배포 시 고유 확장자로 포맷 차별화
⁂
Footnotes
-
https://www.techtarget.com/whatis/definition/file-format ↩ ↩2 ↩3
-
https://www.ionos.com/digitalguide/server/know-how/file-extension-overview/ ↩ ↩2 ↩3 ↩4 ↩5 ↩6
-
https://www.oncrashreboot.com/computer-literacy-study-guide/file-management-and-compression-essentials/understanding-file-extensions/ ↩ ↩2 ↩3
-
https://www.howtogeek.com/356448/what-is-a-file-extension/ ↩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Mozilla/Add-ons/WebExtensions/Anatomy_of_a_WebExten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