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어(Layers) 핸드북

핵심 안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레이어는 복잡성을 관리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관심사 분리(Separation of Concerns)**를 구현하는 핵심 개념이다.

  • 각 레이어는 독립적인 역할과 책임을 지니며, 상위·하위 레이어와 단방향 의존성만을 갖는다.
  • 구조적 투명성, 모듈화, 재사용성, 테스트 용이성, 확장성을 동시에 달성한다.

1. 레이어 개념의 탄생 배경

  1. 복잡성 관리
    • 초창기 대형 시스템은 단일 모놀리식 구조로 설계되어 변경 시 전체 시스템이 흔들렸다.
    • 레이어 구조는 기능을 논리적 계층으로 분리하여 복잡도를 낮추고 변경 충격을 격리한다.
  2. 팀 조직과의 정합성
    • 기업 내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등 팀 역할과 매핑되어 개발 효율을 높인다1.
  3. 표준화와 상호운용성
    • 네트워크 통신(OSI 7Layer)2 등 표준 모델이 등장하며, 기술·벤더 간 호환성을 확보했다.

2. 레이어 구조 유형

2.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N-계층 패턴

계층 구분주요 역할 및 책임예시 기술·구성요소
Presentation Layer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입력 처리 → 데이터 표시와 수집웹 브라우저, 모바일 앱, 뷰(View)3
Application Layer애플리케이션 조정 및 제어 흐름 → 프레젠테이션과 비즈니스 로직 간 중개Controller, API Gateway
Business Layer핵심 비즈니스 룰 수행 → 도메인 모델 기반 로직·계산·검증서비스(Service), 도메인 객체
Persistence Layer데이터 저장·조회 추상화 → 데이터베이스 접근 및 영속성 처리DAO, Repository
Database Layer실제 데이터 저장소 → 테이블·인덱스 관리, CRUD 연산 지원RDBMS, NoSQL

소규모 앱은 3계층(프레젠테이션·비즈니스·데이터)으로, 복잡한 앱은 5계층 이상으로 확장 가능하다34.

2.2 네트워크 통신의 OSI 7계층 모델

층 번호명칭기능 요약
7Application Layer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 제공 (HTTP, SMTP, FTP)
6Presentation Layer데이터 포맷 변환·암호화·압축
5Session Layer세션 설정·유지·종료, 동기화 체크포인트 관리
4Transport Layer데이터 분할·재조립·흐름제어·오류검출 (TCP, UDP)
3Network Layer패킷 경로 설정·라우팅·IP 주소 지정
2Data Link Layer프레임 구성·에러 제어·MAC 주소 관리
1Physical Layer비트 전송 매체 처리·신호 변환

이 모델은 계층별 독립성을 통해 기술 발전 시 상위 계층 영향 없이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다2.

3. 레이어 사용법 및 설계 원칙

  1. 단방향 의존성
    • 각 레이어는 바로 아래 계층만 참조하고 상위 계층을 모른다.
    • 하위 계층 인터페이스만 노출하여 변경 격리성을 확보한다5.
  2. 관심사 분리
    • UI, 비즈니스 룰, 데이터 접근 등 기능별로 구현 코드를 분리하며, 테스트와 유지보수 작업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1.
  3. 계층 간 커넥터
    • 함수 호출, 메시지 전달, 객체 전달 등 추상화된 커넥터를 사용해 상호작용을 정의한다.
  4. 유연한 확장성
    • 필요 시 새로운 레이어(예: 보안·캐싱·로깅)를 추가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5. 일관된 오류 처리 및 로깅
    • 각 레이어별 예외·로깅 체계를 표준화하여 장애 대응과 모니터링을 간소화한다.

4. 실전 적용 시나리오

4.1 데이터 조회 플로우

  1. Presentation Layer: 사용자 요청 수신 → API 호출
  2. Application Layer: 트랜잭션 관리 및 요청 라우팅
  3. Business Layer: 도메인 검증·비즈니스 룰 적용
  4. Persistence Layer: DB 쿼리 실행, 결과 매핑
  5. Database Layer: 물리 CRUD 수행 → 결과 반환

각 단계는 계층 책임에만 집중하므로 디버깅·테스트 시 영향을 국소화할 수 있다.

4.2 변경 요구 대응

  • UI 변경: Presentation Layer 수정만으로 대응, 비즈니스·데이터 계층 불변
  • DB 스키마 변경: Persistence Layer 인터페이스·매핑만 수정, 상위 로직 불변

5. 심화 고려사항

  1. Cross-Cutting Concern
    • 보안·로깅·트랜잭션 등 횡단 관심사는 AOP, 미들웨어, 필터 등으로 분리 적용.
  2. 비대면 통합
    • 마이크로서비스·클라이언트서버 간 레이어 일관성 유지를 위한 계층 경계 계약(Contract) 정의.
  3. 성능 최적화
    • 레이어 호출 오버헤드 최소화, 캐싱·배치 처리 통해 응답 속도 개선.
  4. 테스트 전략
    • 레이어 단위 단위 테스트(Unit Test) 및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설계.

핸드북 요약

  • 레이어 구조는 복잡성 분리, 모듈화, 유지보수성을 위한 필수 패턴이다.
  • 소프트웨어 N-계층과 OSI 7계층은 대표적 예이며, 각각 UI→비즈니스→데이터, 애플리케이션→물리 신호로 책임을 나눈다.
  • 설계 시 단방향 의존성, 관심사 분리, 커넥터 추상화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 변경·확장·테스트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 레이어, AOP, 캐싱, 계약 기반 통신을 고려하라.

핸드북 형태로 정리된 이 가이드를 바탕으로 레이어 기반 설계를 체계적으로 도입·운영할 수 있다.

Footnotes

  1. https://www.scaler.com/topics/software-engineering/layered-pattern/ 2

  2. https://www.corero.com/what-is-the-osi-model/ 2

  3. https://www.indeed.com/career-advice/career-development/what-are-the-layers-in-software-architecture 2

  4. https://www.ardentisys.com/the-5-layers-of-software-what-you-need-to-know/

  5. https://xxeol.tistory.com/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