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패러다임 혁명을 해부한 거대한 통찰: 토마스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 완전 분석

20세기 과학철학사에서 가장 충격적이면서도 논쟁적인 책 중 하나인 토마스 쿤(Thomas S. Kuhn)의 『과학 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는 과학이 발전하는 방식에 대한 우리의 근본적인 이해를 완전히 뒤바꾼 혁명적 저작이다. 이 책은 과학이 사실의 점진적 축적을 통해 발전한다는 전통적 관념을 박살내고, 대신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비연속적이고 혁명적인 발전 모델을 제시했다. 쿤의 이 작품은 단순히 과학철학의 영역을 넘어서 사회과학, 역사학, 심지어 일상 언어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이라는 용어를 현대 문화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게 했다.1234567

토마스 쿤의 과학 발전 5단계 순환 모델

토마스 쿤의 과학 발전 5단계 순환 모델

혁명적 사고의 탄생 배경과 동기

물리학자에서 과학사학자로의 전환

토마스 사무엘 쿤은 1922년 7월 18일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서 태어났다. 부유한 가정의 아들로 태어난 쿤은 하버드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고, 1943년 학사학위를 받은 후 제2차 세계대전 중 레이더 대항 시스템 개발에 참여했다. 전쟁 후 하버드에서 이론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원래 물리학자로서의 경력을 계획하고 있었다.891011

하지만 쿤의 인생을 바꾼 결정적 순간은 1947년 하버드 대학 총장 제임스 B. 코넌트(James B. Conant)의 제안으로 과학사 강의를 맡게 되면서 찾아왔다. 바로 이 시기, 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을 연구하면서 놀라운 깨달음을 경험한다. 처음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이 완전히 잘못되고 어리석어 보였지만, 어느 순간 갑자기 그것이 내적으로 일관된 체계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511128

이 경험은 마치 퍼즐 조각들이 갑자기 새로운 그림을 만들어내는 게슈탈트 전환과 같았다. 쿤은 후에 이를 “내 머릿속의 파편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스스로 정리되었다”고 회고했다. 이 순간이 바로 과학이 단순한 진보가 아니라 서로 다른 세계관 사이의 급진적 전환임을 깨닫는 출발점이 되었다.12

논리실증주의에 대한 도전 의식

1950년대까지 과학철학계를 지배했던 논리실증주의는 과학을 객관적이고 누적적인 지식 체계로 보았다. 이들은 과학적 진보를 이론과 무관한 중립적 관찰 사실들의 점진적 축적으로 이해했다. 또한 칼 포퍼(Karl Popper)의 반증주의도 과학적 합리성을 강조하며 객관적인 진리 추구를 과학의 본질로 여겼다.1314

하지만 쿤은 실제 과학사를 연구하면서 이러한 이론들이 과학의 현실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과학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연구하고, 이론을 채택하고, 변화에 적응하는지를 관찰해보니 기존의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모델과는 거리가 멀었다. 과학은 사회적 활동이며, 과학자 공동체의 합의와 전통, 그리고 때로는 비합리적 요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23

과학 혁명의 구조: 핵심 개념들의 해부

패러다임: 과학의 DNA

쿤이 도입한 가장 혁신적이면서도 논란이 많은 개념이 바로 ‘패러다임(paradigm)‘이다. 패러다임은 단순히 이론이나 방법론을 넘어서, 과학자 공동체가 공유하는 세계관, 가치체계, 연구 방법, 그리고 모범적인 문제 해결 사례들의 총체를 의미한다. 마치 문화의 DNA와 같아서, 과학자들이 어떤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고, 어떤 방법으로 접근하며, 무엇을 해답으로 받아들일지를 결정하는 근본적 틀이다.11516417

패러다임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첫째는 과학자 공동체가 공유하는 전체적인 세계관과 실천 체계를 뜻하고, 둘째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모범적인 문제 해결 사례(exemplar)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뉴턴의 『프린키피아』는 고전역학 패러다임의 핵심적인 예시로서, 후속 연구자들이 따라야 할 모델을 제공했다.417

정상과학: 퍼즐 풀이의 예술

패러다임이 확립되면 과학은 ‘정상과학(normal science)’ 단계에 접어든다. 쿤은 정상과학을 ‘퍼즐 풀이(puzzle-solving)‘에 비유했는데, 이는 매우 정확한 표현이다. 퍼즐 풀이에서는 해답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정해진 규칙과 절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한다. 마찬가지로 정상과학에서 과학자들은 패러다임이 제공하는 틀 안에서 세부적인 문제들을 해결해나간다.151618192021

정상과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적적 발전이 이루어진다. 기존 지식에 새로운 발견을 차근차근 더해가며 패러다임을 정교화한다. 둘째, 교과서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패러다임의 핵심 원리와 모범 사례들을 익히며 과학자로 양성된다. 셋째, 근본적인 의문보다는 기술적 문제 해결에 집중한다.216182215

이는 마치 건축가들이 확고한 건축 양식 안에서 세부적인 설계와 장식을 발전시켜나가는 것과 유사하다. 로마네스크 양식이 지배적이던 시기에 건축가들은 그 양식의 기본 원칙은 의심하지 않으면서도 더욱 정교하고 아름다운 건물을 짓기 위해 노력했던 것처럼 말이다.

이상현상과 위기: 패러다임의 한계 노출

하지만 정상과학이 발전하면서 필연적으로 ‘이상현상(anomaly)‘들이 발견되기 시작한다. 이상현상이란 기존 패러다임으로는 설명하기 어렵거나 예상과 다른 관찰 결과를 말한다. 처음에는 이런 현상들이 개별 과학자의 실수나 측정 오차로 여겨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많은 이상현상들이 축적된다.23242526

이상현상이 위기로 발전하는 과정은 매우 흥미롭다. 모든 이상현상이 위기를 불러오는 것은 아니다. 쿤은 세 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첫째, 그 이상현상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실용적 의미를 가져야 한다. 코페르니쿠스의 경우 가톨릭 교회가 정확한 달력을 만들어야 했던 실용적 필요가 있었다. 둘째, 과학 발전과 함께 이상현상이 더욱 명백해져야 한다. 셋째, 그 이상현상이 패러다임의 핵심을 직격해야 한다.242527

위기 상황에서는 과학자들이 근본적인 가정들을 재검토하기 시작한다. 평상시에는 의심하지 않았던 기초 원리들이 문제 삼아지고, 다양한 대안적 접근법들이 제시된다. 이는 마치 견고해 보였던 집의 기초에 균열이 생기면서 건물 전체의 안전성을 재점검해야 하는 상황과 같다.2523

과학혁명: 패러다임의 교체

위기가 심화되면서 마침내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이 일어난다. 이는 기존 패러다임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면적으로 대체되는 과정이다. 쿤은 이를 정치혁명에 비유했는데, 기존 제도가 더 이상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되면 새로운 제도로 교체되는 것과 같다고 보았다.128429

과학혁명의 핵심적 특징은 ‘공약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이다. 이는 서로 다른 패러다임 사이에는 공통된 측정 기준이나 번역 가능한 언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개념과 뉴턴의 ‘운동’ 개념은 같은 단어를 사용하지만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이는 마치 두 사람이 같은 언어로 말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세계에서 살고 있는 것과 같다.301731

쿤의 과학혁명 사례들 - 역사적 타임라인

쿤의 과학혁명 사례들 - 역사적 타임라인

역사적 사례들: 과학혁명의 생생한 증거들

코페르니쿠스 혁명: 우주의 중심이 바뀌다

쿤이 가장 자주 인용하는 사례는 16세기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의 천문학 혁명이다. 1543년 출간된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을 뒤엎고 태양중심설을 제시했다.322733343536

흥미롭게도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은 처음에는 기존 이론보다 더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지 못했다. 천체의 위치 계산에서도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와 비슷한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받아들여진 이유는 그것이 더 단순하고 조화로운 우주관을 제시했기 때문이다.1273432

이는 과학혁명이 단순히 경험적 증거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미적 가치, 단순성, 조화와 같은 주관적 요소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례다.371

뉴턴 혁명: 근대 물리학의 출발

아이작 뉴턴의 『프린키피아』(1687)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을 완전히 대체하는 새로운 물리학 패러다임을 확립했다. 뉴턴은 운동법칙과 만유인력법칙을 통해 지상의 물체 운동과 천체 운동을 하나의 통일된 원리로 설명했다.3839343536

이 혁명의 핵심은 운동에 대한 개념 자체가 바뀐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운동은 물체가 자연스러운 장소를 찾아가는 과정이었지만, 뉴턴에게는 외부 힘에 의한 상태 변화였다. 같은 현상을 보면서도 완전히 다르게 이해하게 된 것이다.1135

다윈 혁명: 생명의 기원에 대한 재인식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1859)은 생물학에서 창조론적 패러다임을 진화론적 패러다임으로 전환시켰다. 하지만 쿤의 모델로 분석해보면 다윈 혁명은 단순한 패러다임 교체가 아니라 더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404142

다윈 이전에도 뷔퐁(Buffon)과 라마르크(Lamarck) 같은 학자들이 생물의 변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다윈의 기여는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 것이 아니라 자연선택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진화를 설득력 있게 설명한 것이다. 이는 과학혁명이 항상 단절적이지만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414240

아인슈타인 혁명: 시공간의 재구성

20세기 초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뉴턴의 절대적 시공간 개념을 완전히 뒤바꾸었다. 특수상대성이론(1905)과 일반상대성이론(1916)은 시간과 공간이 관측자에 따라 상대적이며, 물질과 에너지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는 혁명적 아이디어를 제시했다.38433944

이 혁명의 흥미로운 점은 처음에는 광범위한 관심을 받았다가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후 1950년대 중반부터 다시 부활하여 현대 물리학의 핵심이 되었다. 이는 과학혁명이 일직선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적, 지적 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보여준다.44

양자역학 혁명: 확률적 세계관의 등장

20세기 초 양자역학의 등장은 고전물리학의 결정론적 세계관을 확률론적 세계관으로 바꾸어놓았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슈뢰딩거의 파동함수, 보어의 상보성 원리 등은 미시 세계의 본성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이해를 제공했다.454647

하지만 양자역학이 과연 쿤적 의미의 패러다임 전환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고전역학적 사고에서 양자역학적 사고로의 전환을 명확한 패러다임 전환으로 보지만, 다른 학자들은 양자역학도 여전히 고전적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4645

쿤의 이론에 대한 비판과 논쟁

비합리성과 상대주의 논란

쿤의 이론은 출간 직후부터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가장 큰 비판은 그의 이론이 과학을 비합리적이고 상대주의적으로 만든다는 것이었다. 공약불가능성 개념은 서로 다른 패러다임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과학적 진보를 단순한 사회적 합의나 권력 관계로 환원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14293748

특히 폴 파이어아벤트(Paul Feyerabend)는 쿠을 “신비주의자”, “비합리주의자”, “무당”이라고 부르며 신랄하게 비판했다. 반대로 어떤 비판자들은 쿤을 “파괴적인 혁명가”이자 “서구 합리주의 전통의 파괴자”로 여겼다. 심지어 최근에는 쿤이 “진리를 죽였고” 도널드 트럼프의 2016년 대통령 당선에 일조했다는 극단적인 비판까지 등장했다.29

패러다임 개념의 모호성

마거릿 마스터맨(Margaret Masterman)은 쿤이 ‘패러다임’이라는 용어를 21가지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개념적 모호성은 쿤의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검증하는 데 큰 장애가 되었다. 쿤 자신도 이를 인정하고 1969년 2판 후기에서 패러다임을 ‘징계 매트릭스(disciplinary matrix)‘와 ‘예시(exemplars)‘로 구분해 명확히 하려고 시도했다.13149

역사적 사례의 적합성 문제

쿤이 제시한 과학혁명 모델이 실제 과학사와 얼마나 부합하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 다윈 혁명의 경우, 쿤의 모델과는 달리 이전 이론들과의 연속성이 상당히 존재한다는 분석이 있다. 또한 모든 과학 분야가 쿤이 제시한 단계적 발전 모델을 따르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4941

쿤 자신의 해명과 수정

이러한 비판들에 대해 쿤은 자신의 의도가 잘못 이해되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과학이 완전히 비합리적이거나 정치적이라고 주장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패러다임 내에서는 진리와 거짓의 개념이 완전히 유효하며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자신이 과학의 권위를 훼손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3748

쿤은 후기 작업에서 자신의 이론을 진화론적 관점으로 발전시켰다. 과학의 발전을 다윈의 자연선택과 유사한 과정으로 보면서, 목적론적 진보관을 거부하면서도 일종의 발전은 인정하는 입장을 취했다.1850

현대적 의의와 적용 영역

사회과학과 인문학으로의 확산

쿤의 패러다임 개념은 자연과학을 넘어서 사회과학과 인문학 영역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 등에서 기존의 지배적 이론 틀이 새로운 틀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쿤의 모델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과학에서는 자연과학과 달리 명확한 패러다임 합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한계도 지적된다.51185253

현대 과학 정책과 연구 관리

쿤의 정상과학과 혁명적 과학의 구분은 현대 과학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상과학 단계에서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연구 지원이 중요하지만, 혁명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에는 보다 혁신적이고 위험을 감수하는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과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

쿤의 이론은 과학 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과학을 단순한 사실의 집합이 아니라 패러다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활동으로 이해하게 됨에 따라,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포함한 맥락적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과학자들이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나가는지에 대한 실제적 훈련의 필요성도 강조되었다.1822

기업과 조직 혁신 이론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개념은 기업 경영과 조직 혁신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업이 기존의 사업 모델이나 조직 문화에서 완전히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쿤의 모델이 유용한 통찰을 제공한다. 특히 디지털 전환, 지속가능성, 인공지능 도입과 같은 현대적 변화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7

21세기적 재조명과 미래 전망

현대 과학의 새로운 도전들

21세기 과학은 기후변화, 인공지능, 유전자 편집, 양자컴퓨팅 등 새로운 영역에서 급속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이 쿤이 말한 의미에서의 패러다임 전환인지, 아니면 기존 패러다임 내에서의 정교화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질문이다. 특히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는 과학 연구 방법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어서 새로운 종류의 과학혁명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있다.47

학제간 융합과 복잡성 과학

현대 과학의 또 다른 특징은 학제간 융합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생물정보학, 인지과학, 환경과학 등 전통적인 학문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분야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쿤의 패러다임 개념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단일한 패러다임보다는 여러 패러다임이 상호작용하고 경쟁하는 상황이 일반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과학과 문화적 다양성

쿤의 원래 이론은 주로 서구 과학의 발전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21세기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다양한 문화권의 과학자들이 글로벌 과학 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다. 이는 패러다임 형성과 변화 과정에 문화적 다양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제기한다.

토마스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는 출간된 지 6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과학과 지식의 본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이 책은 단순히 과학사나 과학철학의 고전을 넘어서 현대인이 변화와 혁신, 그리고 지식의 사회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렌즈를 제공한다. 과학이 객관적 진리를 향한 일직선적 진보가 아니라 인간 공동체의 복잡한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과정을 통해 발전한다는 쿤의 통찰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

Footnotes

  1. https://en.wikipedia.org/wiki/The_Structure_of_Scientific_Revolutions 2 3 4 5 6 7

  2. https://plato.stanford.edu/entries/thomas-kuhn/ 2 3

  3. https://www.simplypsychology.org/kuhn-paradigm.html 2

  4. https://en.wikipedia.org/wiki/Paradigm_shift 2 3 4

  5.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Kuhn 2

  6. https://press.uchicago.edu/ucp/books/book/chicago/K/bo22053950.html

  7. https://www.nature.com/articles/484164a 2

  8. https://iep.utm.edu/kuhn-ts/ 2 3

  9. https://web.physics.utah.edu/~detar/phys4910/readings/fundamentals/Kuhnsnap.html

  10. https://study.com/academy/lesson/thomas-kuhn-biography-scientific-revolutions.html

  11. https://www.famousscientists.org/thomas-kuhn/ 2 3

  12. https://philarchive.org/archive/TAYTSO-13 2

  13. https://www.sobider.net/FileUpload/ep842424/File/12.two_critics_of_logical_positivism1.pdf

  14. http://damascusuniversity.edu.sy/mag/human/images/stories/33-54—aa.pdf 2

  15. https://en.wikipedia.org/wiki/Normal_science 2 3

  16.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318613/ 2 3

  17. https://plato.stanford.edu/entries/incommensurability/ 2 3

  18. https://human.libretexts.org/Bookshelves/Philosophy/Introduction_to_Philosophy/An_Introduction_to_Philosophy_(Payne)/06:_Philosophy_of_Science/6.02:_Thomas_Kuhn 2 3 4

  19. https://sidoli.w.waseda.jp/Kuhn_Puzzle-Solving.pdf

  20. https://home.csulb.edu/~cwallis/382/readings/690/Kuhn/kuhn.structure.pt3.pdf

  21. https://towardsbeing.wordpress.com/2011/03/13/it’s-a-“kuhn-undrum”-–-normal-science-as-puzzle-solving/

  22. https://philosophynow.org/issues/14/The_Philosophy_of_Scientific_Revolutions 2

  23. https://research.engineering.nyu.edu/~jbain/scitechsoc/lectures/07.Kuhn.Crises.pdf 2

  24. https://www.litcharts.com/lit/the-structure-of-scientific-revolutions/chapter-8-the-response-to-crisis 2

  25. https://philosophyalevel.com/posts/structure-of-scientific-revolutions-thomas-kuhn/ 2 3

  26. https://patrick.maher1.net/270/lectures/kuhn.pdf

  27. https://www.mprl-series.mpg.de/proceedings/8/7/index.html 2 3

  28. https://library.korea.ac.kr/campaign-list49/

  29. https://philarchive.org/archive/KINKCL 2 3

  30.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thomas-kuhn/incommensurability-and-meaning/616C29220E8DB651E81B58CFF72085D9

  31. https://en.wikipedia.org/wiki/Commensurability_(philosophy_of_science) 2

  32. https://en.wikipedia.org/wiki/The_Copernican_Revolution_(book) 2

  33. https://fpa2014.wordpress.com/wp-content/uploads/2014/01/kuhn-thomas-s-the-copernican-revolution.pdf

  34. https://www.britannica.com/science/Scientific-Revolution 2 3

  35. https://en.wikipedia.org/wiki/Scientific_Revolution 2 3

  36. https://library.fiveable.me/hs-honors-world-history/unit-5/scientific-revolution/study-guide/0C4f6rpsOhAFFzUq 2

  37. https://theconversation.com/thomas-kuhns-the-structure-of-scientific-revolutions-50-years-on-6586 2 3

  38. https://news.ucsb.edu/2016/016562/einstein-revolution 2

  39.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physics/theory-relativity 2

  40. https://medcraveonline.com/JHAAS/design-time-and-empire-charles-darwinacutes-paradigm-shift.html 2

  41. https://sfkaplan.people.amherst.edu/courses/fall-2008/fys/downloads/paper-3/round-1/6ef8dad54a3b79708ecb98e84e12a0aa/paper-2.pdf 2 3

  42. https://direct.mit.edu/posc/article/29/1/1/97505/Interpreting-the-History-of-Evolutionary-Biology 2

  43. https://stemnews.am/en/200

  44. https://www.mpg.de/9696776/renaissance-of-relativity-theory 2

  45. https://philpapers.org/archive/ALLQMA.pdf 2

  46. https://valiaallori.com/wp-content/uploads/2016/07/QM-and-Paradigm-Shifts-paper.pdf 2

  47. https://arxiv.org/html/2312.17693v1 2

  48. https://johnhorgan.org/cross-check/thomas-kuhns-skepticism-went-too-far 2

  49. https://www.reddit.com/r/askphilosophy/comments/sb4urk/what_are_the_main_criticisms_of_thomas_kuhn/ 2

  50. https://pp.bme.hu/so/article/viewFile/1622/940

  51. https://internationalpolicybrief.org/wp-content/uploads/2023/10/ARTICLE8-95.pdf

  52. https://www.ibsafoundation.org/en/blog/kuhn-paradigms-and-revolutions-in-scientific-development

  53. https://www.annualreviews.org/doi/10.1146/annurev.polisci.1.1.199

  54. https://www.lri.fr/~mbl/Stanford/CS477/papers/Kuhn-SSR-2ndEd.pdf

  55. https://eclass.uoa.gr/modules/document/file.php/ECD433/MEΘΟΔΟΛΟΓΙΑ/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50th Anniversary Edition by Thomas S. Kuhn (z-lib.org).pdf

  56. https://ko.wikipedia.org/wiki/과학혁명의_%EA%B5%AC%EC%A1%B0

  57.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literature-and-writing/kuhn-explores-paradigm-shifts-scientific-thought

  58. https://www.goodreads.com/book/show/61539.The_Structure_of_Scientific_Revolutions

  59. https://namu.wiki/w/과학혁명의 구조

  60. https://fs.blog/how-scientific-advancement-happens/

  61. https://www.youtube.com/watch?v=sOGZEZ96ynI

  62.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128475

  63. https://www.youtube.com/watch?v=L70T4pQv7P8

  64.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kuhns-the-structure-of-scientific-revolutions-at-60/normal-science/B3A1530F6C02F07C9151852D96412FC4

  65.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05174

  66. https://www.jstor.org/stable/688043

  67. https://dictionary.apa.org/preparadigmatic-science

  68.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Thomas-S-Kuhn

  69. https://www.ukessays.com/essays/philosophy/compare-and-contrast-poppers-and-kuhns-theorys-philosophy-essay.php

  70. https://www.the-tls.com/regular-features/footnotes-to-plato/scientific-revolutions-thomas-kuhn

  71. https://www.reddit.com/r/askphilosophy/comments/s0e1jv/am_i_understaind_correctly_the_main_differences/

  72. https://www.newscientist.com/gallery/scientific-revolutions/

  73.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interpreting-kuhn/copernican-revolution-since-kuhn/022159CF938A6D2CB2662642324E2E78

  74. https://philarchive.org/rec/ALLQMA

  75.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literature-and-writing/structure-scientific-revolutions-thomas-s-kuhn

  76. https://home.csulb.edu/~cwallis/382/readings/690/Kuhn/kuhn.structure.pt6.pdf

  77. https://core.ac.uk/download/pdf/83230809.pdf

  78. https://www.reddit.com/r/askphilosophy/comments/9hp5j2/struggling_a_little_with_understanding_kuhns/

  79. https://courses.lumenlearning.com/suny-hccc-worldhistory2/chapter/the-scientific-revolution/

  80. https://ppl-ai-code-interpreter-files.s3.amazonaws.com/web/direct-files/25e55a0b2f7cf4099462fea4fc8960be/f5bed161-fd16-47d9-a7ab-96286f37a08c/302a3c60.cs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