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02:32
Tags:
개념과 실체의 연결고리, 인스턴스(Instance) 완벽 가이드
1. 인스턴스는 왜 필요한가? (탄생 배경)
만들어진 이유
컴퓨터 과학의 목표 중 하나는 현실 세계를 디지털 세상으로 옮겨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사람’, ‘자동차’, ‘주문’과 같이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뽑아 설계도를 만듭니다. 이 설계도를 클래스(Class) 또는 **엔터티(Entity)**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설계도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아파트 설계도가 있다고 해서 우리가 그 안에서 살 수 없는 것과 같죠. 실제로 살 수 있는 ‘집’이 필요합니다.
**인스턴스(Instance)**는 바로 이 설계도를 바탕으로 실체화된 개체 하나하나를 의미합니다. ‘사람’이라는 설계도(클래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홍길동’, ‘김철수’라는 실제 인물 정보가 바로 인스턴스입니다. 즉, 추상적인 개념(설계도)에 생명을 불어넣어 우리가 다룰 수 있는 구체적인 데이터(실체)로 만드는 과정, 이것이 바로 인스턴스화(Instantiation)이며, 그 결과물이 인스턴스입니다.
핵심 비유: 붕어빵 틀과 붕어빵
클래스/엔터티: 붕어빵을 찍어내는 ‘틀’ (설계도)
인스턴스: 그 틀로 찍어낸 ‘붕어빵’ 하나하나 (실체)
붕어빵 틀(클래스)은 하나지만, 그 틀로 수많은 붕어빵(인스턴스)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각 붕어빵은 모양은 같지만, 안에 든 팥의 양이나 구워진 정도는 조금씩 다를 수 있듯, 인스턴스들도 같은 구조를 가지지만 각기 다른 데이터 값을 가집니다.
2. 인스턴스의 구조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
인스턴스는 자신을 정의한 클래스/엔터티의 구조를 그대로 물려받습니다.
-
속성 (Attribute / Property): 인스턴스의 상태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 값입니다. ‘학생’ 클래스에 ‘이름’, ‘학번’이라는 속성이 정의되어 있다면, ‘홍길동’ 인스턴스는 ‘이름: 홍길동’, ‘학번: 2023001’이라는 구체적인 상태 값을 갖습니다. 이 값들의 조합으로 다른 인스턴스와 구별됩니다.
-
메서드 (Method / Function): 인스턴스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입니다. (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개념) ‘계좌’ 클래스에 ‘입금하다()’, ‘출금하다()‘라는 메서드가 있다면, 특정 계좌 인스턴스는 이 메서드를 호출하여 잔액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관점에서는 테이블의 행(Row) 하나가 곧 인스턴스이며, 각 **열(Column)**이 속성에 해당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생명 주기 (어떻게 사용되나?)
인스턴스는 생성되고, 사용되고, 소멸하는 생명 주기(Lifecycle)를 가집니다. 이는 데이터 처리의 기본인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가. 생성 (Create)
-
정의: 클래스나 엔터티라는 틀을 사용하여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드는 단계입니다.
-
프로그래밍:
new Student("홍길동")
과 같이new
키워드를 통해 메모리에 객체를 할당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INSERT INTO 학생 (이름, 전공) VALUES ('홍길동', '컴퓨터공학');
명령어로 새로운 행(인스턴스)을 추가합니다.
나. 조회 및 사용 (Read & Use)
-
정의: 생성된 인스턴스가 가진 속성 값을 읽어오거나, 인스턴스의 동작(메서드)을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
프로그래밍:
student.getName()
처럼 인스턴스의 정보를 가져와 비즈니스 로직에 활용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SELECT * FROM 학생 WHERE 이름 = '홍길동';
명령어로 특정 인스턴스의 정보를 조회합니다.
다. 수정 (Update)
-
정의: 인스턴스가 가진 속성 값을 변경하여 상태를 바꾸는 단계입니다.
-
프로그래밍:
student.setMajor("경영학")
처럼 인스턴스의 전공 정보를 변경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UPDATE 학생 SET 전공 = '경영학' WHERE 이름 = '홍길동';
명령어로 특정 인스턴스의 데이터를 수정합니다.
라. 소멸 (Delete)
-
정의: 인스턴스의 역할이 끝나면 시스템 자원(메모리, 저장 공간)에서 제거하는 단계입니다.
-
프로그래밍: 가비지 컬렉터(Garbage Collector)가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메모리에서 해제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DELETE FROM 학생 WHERE 이름 = '홍길동';
명령어로 특정 인스턴스를 테이블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합니다.
이처럼 인스턴스는 추상적인 데이터 설계와 실제 데이터 처리 사이의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수많은 인스턴스를 끊임없이 생성하고, 사용하고, 소멸시키며 동작하고 있는 셈입니다.
인스턴스와 클래스(엔터티)의 관계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혹은 이 둘의 차이가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