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14:35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
-
우리의 직감은 종종 틀리며, 사회적 통념은 우리를 잘못된 길로 인도할 수 있다.
-
연애, 직업, 행복과 같은 인생의 중대한 결정에서 빅데이터는 직관을 뛰어넘는 통찰을 제공한다.
-
데이터 기반의 접근법, 즉 ‘인생을 위한 머니볼’ 전략은 성공 확률을 극적으로 높이는 실용적인 무기가 된다.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 완벽 핸드북
우리는 인생이라는 경기장에서 수많은 선택의 타석에 들어선다. 어떤 공을 치고 어떤 공을 걸러야 할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직감’이라는 배트를 휘두르거나, 주변의 몇몇 코치(친구, 가족, 전문가)의 조언에 의존한다. 하지만 만약 수백만 명의 타자들이 어떤 공을 쳤을 때 안타나 홈런이 되었는지, 어떤 공에 헛스윙 삼진을 당했는지 모두 기록된 데이터가 있다면 어떨까? 우리의 선택은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의 저서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원제: Don’t Trust Your Gut)‘는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전 구글 데이터 과학자였던 저자는 개인의 경험이나 소수의 사례가 아닌, 방대한 인류의 데이터 속에서 인생의 중요한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는다. 이 핸드북은 책의 핵심 통찰을 바탕으로, 당신의 인생을 데이터라는 강력한 무기로 무장시키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1부 연애와 사랑 데이터는 당신의 짝을 알고 있다
우리는 평생의 행복을 좌우할지 모를 ‘사랑’이라는 중대한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가? 대부분은 강렬한 끌림, 비슷한 취미, 사회적 조건 등 지극히 직관적인 요소에 의존한다. 하지만 데이터는 이것이 착각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왜 우리는 ‘번쩍이는 가짜 신호’에 속는가
데이터 과학자들이 1만 1,000쌍 이상의 커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충격적이다. 사람들이 연애 시장에서 그토록 중요하게 여기는 특징들이 장기적인 관계 만족도와 거의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저자는 이러한 특징들을 ‘번쩍이는 특징(Shiny Features)‘이라고 부른다.
번쩍이는 특징들은 우리의 시선을 즉각적으로 사로잡지만, 행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
외모: 전통적인 미남, 미녀
-
신체 조건: 키 큰 남성, 키가 아주 큰 여성
-
직업: 소위 말하는 ‘좋은’ 직업
-
인종 및 배경: 특정 인종 또는 나와 비슷한 배경
데이터는 명확히 보여준다. 사람들은 행복과 무관한 이 ‘번쩍이는 특징’을 얻기 위해 데이트 시장에서 맹렬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는 마치 맛은 없지만 포장만 화려한 과자를 사기 위해 길게 줄을 서는 것과 같다.
반대로, 데이터는 시장에서 과소평가되는 집단이 존재함도 알려준다. 이들은 ‘번쩍이는 특징’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주목받지 못하지만, 훌륭한 파트너가 될 잠재력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 과소평가되는 집단 (데이터 기반) |
|---|
| 키 작은 남성 |
| 키가 아주 큰 여성 |
| 아시아계 남성 |
|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
| 인기 없는 분야(교육, 교통 등)의 종사자 또는 학생 |
| 전통적인 미인이 아닌 남성과 여성 |
그렇다면 무엇이 진짜 중요한가
데이터가 ‘번쩍이는 특징’을 버리라고 말한다면, 우리는 무엇을 봐야 할까? 연구 결과, 장기적으로 행복한 연애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상대방의 ‘성격’과 관련된 특성이었다.
-
삶에 대한 만족도 (Life Satisfaction): 스스로의 삶에 만족하고 행복을 느끼는 사람은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에너지를 발산한다. 불행한 사람과 함께 행복해지기는 어렵다.
-
안정적 애착 유형 (Secure Attachment Style): 타인을 신뢰하고, 친밀감을 편안하게 느끼며, 애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사람이다. 이들은 관계의 안정적인 기반이 되어준다.
-
성실성 (Conscientiousness): 책임감이 강하고, 계획적이며, 약속을 잘 지키는 성격 특성. 관계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성장 마인드셋 (Growth Mindset): 자신과 관계가 더 나아질 수 있다고 믿고 노력하는 태도. 갈등이 생겼을 때 회피하기보다 함께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결론적으로, 당신의 짝을 찾을 때 이력서나 프로필 사진 너머의 것을 보아야 한다. 그 사람이 얼마나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지, 타인과 안정적인 관계를 맺는지, 얼마나 성실하고 성장하려 노력하는지가 장기적인 행복의 핵심 열쇠다.
데이터 기반 데이트 전략
-
그물을 넓게 던져라: “예를 많이 받고, 아니요도 많이 받지만, ‘그저 그렇다(Meh)‘는 아주 조금 받는 것”이 최고의 전략이다. 소수에게만 매력적인 당신의 극단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을 때, 누군가는 당신에게 극도로 매력을 느낄 확률이 높다. 더 많은 사람에게 용기 내어 다가가라.
-
과소평가된 주식에 투자하라: 모두가 원하는 ‘인기주’ 대신, 시장에서 저평가된 사람들에게 주목하라. 경쟁은 덜하고, 숨겨진 보석을 발견할 확률은 높다.
-
일단 시작했다면, 현재의 행복에 집중하라: 관계가 시작되면 두 사람의 배경, 취미, 가치관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에 대해 걱정하지 마라. 데이터는 이런 요소들이 미래의 행복을 예측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중요한 것은 ‘지금, 상대와 함께 있을 때 얼마나 행복한가’이다.
2부 직업과 성공 부를 이끄는 의외의 공식
‘젊고, 똑똑한 외톨이가 차고에서 세상을 바꾼다.’ 우리가 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성공한 창업가의 신화다. 하지만 데이터는 이 신화 역시 허상에 가깝다고 말한다.
당신이 알던 성공 신화는 없다
-
잘못된 통념 1: 젊을수록 창업에 유리하다.
- 데이터의 진실: 미국 창업자들의 평균 연령은 41.9세다. 심지어 60세 창업자가 30세 창업자보다 가치 있는 회사를 만들 확률이 3배나 높다. 경험과 네트워크는 나이와 함께 쌓인다.
-
잘못된 통념 2: 외톨이가 창업에 유리하다.
- 데이터의 진실: 공동 창업자가 있는 경우가 더 흔하며, 성공 확률도 높다. 협력은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시너지를 창출한다.
-
잘못된 통념 3: 주변부의 힘 (IQ가 너무 높으면 불리하다?)
- 데이터의 진실: IQ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높을수록 무조건 유리하다. 데이터상으로 IQ가 높아져서 불리해지는 지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진짜 부자들은 누구인가
그렇다면 진짜 부자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데이터는 또다시 의외의 답을 내놓는다. 미국의 전형적인 부자는 “동네 기업의 사장님들”이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영업사원, 주류 도매업자, 용접 하청업체 사장 등 화려하지 않지만 꾸준히 이익을 내는 지역 기반 사업가들이 상위 소득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대박’을 노리는 것보다, 특정 분야에서 꾸준히 사업을 일구는 것이 부로 가는 더 현실적인 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얼굴’과 ‘운’이라는 변수
성공은 오직 능력만으로 결정될까? 데이터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
얼굴이 경쟁력이다: 사람들은 얼굴만 보고도 그 사람의 유능함, 신뢰성, 지배 성향 등을 판단한다. 한 연구에서는 생도들의 얼굴에서 나타나는 ‘지배 성향’이 미래의 장군 진급 확률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수임이 밝혀졌다. 심지어 후보자의 얼굴이 더 유능해 보인다는 인상만으로 선거 결과가 좌우되기도 한다.
-
행운은 실재한다: 성공한 기업들의 역사를 분석한 결과, 예측 불가능하고 통제할 수 없는 ‘행운 사건’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변수가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시도 횟수’를 늘려 행운이 찾아올 확률 자체를 높이는 것이다. 구직할 때 더 많은 회사에 지원하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협력을 제안하는 적극적인 태도가 결국 기회의 문을 열어준다.
3부 행복 데이터가 말하는 가장 행복해지는 법
우리는 무엇이 자신을 행복하게 만들 것이라고 꽤 잘 안다고 생각한다. 승진, 더 넓은 집, 멋진 차… 하지만 데이터는 우리가 자신의 행복조차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는 ‘인지 편향’에 빠져있다고 지적한다.
우리는 행복을 예측하는 데 서툴다
한 연구에서 대학교수들을 대상으로 종신교수 임용 여부가 장기적인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했다. 임용 전 교수들은 임용되면 훨씬 행복해질 것이라 예측했지만, 실제 데이터상 임용된 교수와 탈락한 교수의 행복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우리는 특정 사건이 가져올 기쁨이나 고통의 강도와 지속 시간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행복 활동 순위표 전격 공개
영국의 ‘매피니스(Mappiness)’ 프로젝트는 수만 명의 스마트폰을 통해 특정 순간에 무엇을 하고 있으며 얼마나 행복한지를 실시간으로 추적했다. 이를 통해 인류 역사상 가장 신뢰도 높은 ‘행복 활동표’가 만들어졌다.
| 순위 | 활동 | 상대적 행복도 |
|---|---|---|
| 1 | 친밀한 접촉/섹스 | 14.2 |
| 2 | 연극/무용/음악회 | 9.29 |
| 3 | 전시회/박물관/도서관 | 8.77 |
| 4 | 스포츠/달리기/운동 | 8.12 |
| 5 | 원예 | 7.83 |
| … | … | … |
| 21 | TV 시청/영화 감상 | 2.55 |
| 29 | 수면/휴식/긴장 풀기 | 1.08 |
| 32 | 문자/이메일/소셜미디어 | 0.56 |
| 33 | 집안일/잡일 | -0.65 |
| 39 | 업무/공부 | -5.43 |
| 40 | 앓아눕기 | -20.4 |
이 표는 명확한 패턴을 보여준다. 우리는 수동적인 활동(TV 시청, 인터넷 서핑, 휴식)이 주는 행복을 과대평가하고, 능동적인 활동(운동, 문화생활, 사교)이 주는 행복을 과소평가한다.
-
과소평가된 활동: 전시회/박물관, 스포츠/운동, 원예
-
과대평가된 활동: 수면/휴식, TV/영화 감상, 인터넷 서핑
지옥 같은 ‘일’을 즐겁게 만드는 세 가지 방법
행복도 최하위를 기록한 ‘업무/공부’를 조금이라도 덜 불행하게 만들 방법은 없을까? 데이터는 세 가지 해법을 제시한다.
-
음악 듣기: 일하면서 음악을 들으면 행복 점수가 눈에 띄게 상승한다.
-
재택근무: 통근이라는 불행한 활동을 없애고 익숙한 공간에서 일하는 것은 행복도를 높인다.
-
친구와 함께 일하기: 가장 강력한 방법이다. 친구로 여기는 사람과 함께 일할 때, 고통스러운 노동은 유쾌한 경험으로 바뀔 수 있다. 일터에서의 사회적 유대감이 결정적이다.
결론 데이터 중심 인생 해법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가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당신의 직감, 사회적 통념, 소수의 조언을 맹신하지 마라. 대신, 수백만 명의 삶이 축적된 데이터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라.
데이터는 우리에게 ‘번쩍이는’ 외모 대신 ‘안정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을 만나라고 조언한다. 성공한 창업가의 신화를 좇기보다, 꾸준한 사업과 넓은 네트워크의 가치를 보라고 말한다. 소파에 누워 TV를 보는 대신, 밖으로 나가 사람을 만나고, 자연을 즐기고, 운동하라고 촉구한다.
저자는 이 모든 데이터를 종합하여 궁극의 ‘데이터 중심 인생 해법’을 제시하며 책을 마무리한다.
섭씨 26도의 화창한 날에, 아름다운 강이나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장소에서,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섹스를 하라.
이 문장은 날씨, 자연, 사랑하는 사람과의 유대, 그리고 가장 큰 행복을 주는 활동이 결합된, 데이터가 제시하는 최적의 행복 공식이다. 이제 당신의 인생이라는 경기장에서, 직감 대신 데이터를 손에 쥔 현명한 타자가 될 시간이다.